[NNA] 日 외국인 노동자 국적 다변화, 베트남 비중 감소

사진윌오브 베트남 홈페이지
[사진=윌오브 베트남 홈페이지]


일본의 외국인 노동력 확보를 위한 ‘특정기능 1호’ 체류 자격을 가진 베트남인의 비중이 올해 처음으로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인도네시아·필리핀·미얀마 등 다른 아시아 국가 출신 인력이 빠르게 늘면서 일본 내 외국인 노동자의 국적이 다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6월 말 기준 특정기능 1호 자격으로 일본에 체류 중인 베트남인은 전년 동기 대비 15% 늘어난 14만 6,270명으로 집계됐다. 다만 증가율은 지난해(30%)의 절반 수준으로 둔화됐으며, 전체 1호 자격자 증가율(32%)에도 못 미쳤다. 베트남인의 비중은 전체의 44%로, 제도 시행 초기인 2019년 6월을 제외하고는 처음으로 절반 밑으로 내려갔다.

 

특정기능 제도는 일본 내 인력난 해소를 위해 2019년 4월 도입된 체류 자격이다. 체류 기간이 최대 5년인 1호 자격자는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늘어나 2025년 6월 기준 33만 3,123명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이 가운데 56%는 기능실습을 마치고 자격을 전환한 인력이며, 베트남인의 경우 71%가 기능실습생 출신이다. 기능실습생의 절반가량이 베트남인인 점을 고려하면, 이들이 특정기능 인력 증가를 견인해 온 셈이다.

 

■ 베트남 인건비 상승이 채용 국적 다변화로

그러나 최근 들어 인력 공급이 다변화되는 조짐이 뚜렷하다. 인재 파견기업 윌그룹 산하 윌오브 베트남의 아이카와 가즈토(相川一人) 사장은 “과거에는 ‘실습생이나 특정기능이라 하면 곧 베트남’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지금은 선택지가 다양해졌다”며 그 배경에는 베트남 외 국가들의 일본어 교육 수준 향상과 송출 기관 운영 능력 제고 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베트남의 경제성장에 따른 인건비 상승 전망 때문에, 다른 나라 인력 채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 인도네시아, 필리핀 확대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가 베트남에 이어 두 번째로 많으며, 일본 제조업의 인도네시아 진출 확대를 배경으로 6만 9,384명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미얀마는 87% 늘어난 3만 5,557명, 필리핀은 28% 증가한 3만 2,396명으로 집계됐다. 네팔도 유학생 취업 증가에 힘입어 73% 늘어난 9,329명에 달했다. 미얀마는 간병·외식업 분야를 중심으로 일본 기업의 채용이 활발하지만, 현지 정부가 올해 2월부터 출국 제한 조치를 시행하면서 일본으로의 인력 이동이 다른 국가로 분산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취업 난이도, 엔화 약세 등으로 대만 인기

한편, 최근 들어 베트남의 2대 송출 지역인 일본과 대만 중 대만으로 향하는 인력이 늘고 있다. 아이카와 사장은 “베트남인들이 일본 대신 대만 취업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임금 수준뿐 아니라 취업 준비 과정의 부담이 적은 점이 이유”라고 설명했다. 일본은 출국 전 일본어 학습을 의무화하지만, 대만은 실무 경험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특정기능 1호로 일본에 가기 위해 무급으로 9개월 이상 공부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대만은 2~3개월 정도 준비로 충분한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베트남 인력 증가세 둔화에는 엔화 약세로 인한 일본 취업의 경제적 매력 감소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제조, 서비스 모두 증가

특정기능 인력이 일하는 16개 분야 가운데 베트남인이 가장 많은 분야는 식품제조업으로(5만 1,590명) 전년 대비 10% 늘었다. 이어 공업제품 제조업(2만 9,327명, 10% 증가), 건설업(2만 7,811명, 31% 증가)이 뒤를 이었다. 이들 세 분야에서 베트남인의 비중은 모두 5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외식업도 1만 2,465명으로 36% 증가했으며, 대부분은 기존에 일본에서 일하던 베트남인이나 유학생 출신으로 나타났다. 숙박업(31% 증가)과 공항 지상직을 중심으로 한 항공 분야(21% 증가) 역시 인력난을 배경으로 채용이 확대됐다.

 

■ “채용확대와 국적 다양화는 지속될 것”

아이카와 사장은 “베트남 인력은 앞으로도 계속 늘겠지만, 국적의 다변화와 함께 점유율은 점차 낮아질 것”이라며 “일본에 대해 친밀한 정서와 문화적으로도 일본과 가까운 점, 송출에 적극적인 정부 지원 등은 여전히 강점이지만, 인건비 상승이 비중 확대를 제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또 2027년 4월 시행 예정인 ‘육성취업’ 제도가 현 단계에서는 특정기능 인력 증가세나 출신국 구성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육성취업은 기존 기능실습보다 일본 내 체류와 자격 전환이 용이한 제도로 설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