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마감] 미·중 갈등 속 극심한 변동성...혼조

  • 은행 실적 호조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긴장 지속...AI 투자 확대는 긍정 신호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극심한 변동성 끝에 혼조로 마감했다. 미·중 무역 긴장과 금리 인하 기대, 은행 실적 호조 등이 뒤엉키면서 시장이 요동쳤다.

15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포인트(0.04%) 밀린 4만6253.31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75포인트(0.40%) 오른 6671.06, 나스닥종합지수는 148.38포인트(0.66%) 뛴 2만2670.08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미국과 중국은 여전히 무역을 둘러싼 긴장을 이어가고 있다. 양국은 전날부터 상대국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식용유 수입 중단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1일부터 중국에 10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은행주 실적 호조는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JP모건체이스는 2% 가까이 올랐고 뱅크오브아메리카와 모건스탠리는 4% 이상 상승했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3분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주당순이익(EPS)과 역대 최대 수준의 매출을 발표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도 EPS와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했다.

특히 두 회사 모두 투자은행(IB) 부문의 수수료가 높아지며 금융시장에 낙관론이 퍼졌다. 이는 인수합병, 기업공개 등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다는 신호다.

인공지능(AI) 설비투자에 빅테크뿐만 아니라 금융회사들도 동참하면서 기대감이 높아졌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엔비디아가 참여하는 AI 인프라 투자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설계·운영사인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를 400억 달러에 인수할 계획으로 전해졌다.

업종별로는 통신서비스와 유틸리티, 부동산이 1% 이상 올랐다. 산업과 금융, 에너지, 소재는 하락했다. 시가총액 1조 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혼조였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약보합이었다. 알파벳과 브로드컴, 오라클은 2% 안팎으로 올랐다.

S&P500 지수는 장 중 1.20%까지 상승폭을 확대한 뒤 –0.48%까지 급락하는 등 급등락을 반복했다. 투자자들은 실적 발표와 미·중 관련 이슈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발언도 투심에 실망감을 안겨 줬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높은 주가를 좋아하지만 증시가 하락한다고 협상하진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 경제에 가장 이익이 되는 일을 하고자 협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가 50bp(1bp=0.01%) 인하될 확률은 94.9%로 나타났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비둘기파 발언 이후 연내 두 차례 금리인하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