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유가 덮쳤다…수출입물가 3개월 연속 오름세

  • 한국은행 '9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

  • 환율·유가 상승에…수입물가 전월比 0.2%↑

  • 수입물량지수, 3년 1개월 만에 최고 상승폭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수입물가와 수출물가가 석 달째 상승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동시에 오르면서 원자재와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하면서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5.43으로 8월(135.21)보다 0.2% 올랐다. 지난 7월 이후 3개월째 상승세다.

원재료는 광산품(-0.2%)을 중심으로 0.1% 내렸다. 중간재는 1차금속제품(1.3%),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0.7%), 석탄 및 석유제품(1.3%)이 오르며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자본재는 전월 대비 0.2% 하락했고, 소비재는 0.1% 상승했다.

지난달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동시에 상승한 영향이 컸다. 지난달 두바이유는 월평균 배럴당 70.01달러로 집계되면서 전월(69.39달러)대비 0.9% 올랐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1391.83원으로 전월(1389.66원) 대비 0.2% 상승했다.

8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전월(128.69)보다 0.6% 오른 129.50로 집계됐다. 역시 세 달 연속 상승이다.

품목별로는 농림수산품이 0.6% 올랐고, 공산품도 석탄 및 석유제품(2.1%)과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0.7%)를 중심으로 0.6% 상승했다.

8월 무역지수(달러 기준)는 수입물량지수와 수입금액지수가 전년동월 대비 각 13.7%, 7.8%씩 상승했다. 수출물량지수와 수출금액지수는 각 14.4%, 12.0%씩 올랐다.

수입물량지수는 지난 2022년 8월(15.7%) 이후 3년 1개월 만에, 수출물량지수는 2024년 1월(17.4%) 이후 최고 상승폭을 보였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수출 호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화학제품이나 자동차의 수출 물량이 늘면서 수출물량지수가 큰 폭 상승했다"며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가 반도체나 컴퓨터 주변기기 중심으로 수입물량이 증가했고 알루미늄이나 동제품과 같은 1차 금속제품 수입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95.34)는 전년동월 대비 3.2% 올랐다. 27개월 연속 상승세다.

소득교역조건지수(130.84)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3.2%)와 수출물량지수(14.4%)가 모두 상승하면서 1년 전보다 18.1% 상승했다.

이 팀장은 "10월 현재까지 두바이유 가격은 전월 대비 7.3% 하락한 상황이고 환율은 전월 대비 1.7% 상승했다"며 "국제유가와 환율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국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 월말까지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