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의 북극항로 항해 성공으로 앞으로 북극항로를 둘러싼 패권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북극항로의 90%가 통과하는 러시아가 북극항로 주도권을 쥐고 있다. 서방 경제 제재에 대한 돌파구로 북극항로를 활용하고 있는 러시아는 북극항로를 자국 해역으로 관리하며 선박에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다. 항만과 쇄빙선에도 적극 투자해 북극항로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중국에게는 북극항로가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여 공급망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미국의 봉쇄 위협이 있는 말라카 해협 의존도를 낮추고 미국의 견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은 러시아와의 북극 해역에서 해상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7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당시 러시아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빙상 실크로드' 공동 건설을 처음 제안했으며, 지난해 8월 리창 중국 총리가 모스크바를 방문했을 때에도 양국은 북극항로 공동 개발을 강조했다.
반면 미국은 북극항로가 군사적 요충지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러시아의 북극항로 통제를 견제하고 있다. 미국이 북극항로를 국제 해상 교통로로 규정하고, 러시아의 독점적 통제를 부정하는 배경이다. 미국은 또 알래스카와 노르웨이 등지에서 북극 훈련을 강화하고, 알래스카 항만을 비롯한 북극 전용 항만 건설 예산을 편성하고 북극항로 개척에도 나서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북극항로 패권 경쟁에 적극 뛰어들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북극항로 개척을 국정과제로 삼고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북극항로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내년도 쇄빙선 건조와 해기사 양성 등에 약 550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국회에선 벌써 5번째 북극항로 지원 특별법도 발의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