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6년 연속 공공데이터 개방 분야 1등급

  • 지난 5년간 공공데이터 개방 100건…AI 친화 데이터 개방 확대

고양시청 전경 사진고양시
고양시청 전경 [사진=고양시]
고양특례시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발맞춰 데이터 기반 행정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의미 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20일 고양시에 따르면 공공데이터 평가의 개방 분야(제공주기 준수, 제공신청 적기처리 등)에서 6년 연속 1등급을 유지하고 지난 5년간 총 100건의 공공데이터를 확대 개방하는 등 적극적인 데이터 정책을 추진해왔다.
 
고양시는 현재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을 통해 △공공행정 분야 50건 △보건·사회복지 분야 35건 △교통물류·산업통신 분야 35건 △환경 분야 34건 등 총 66개 부서, 243건의 공공데이터를 개방 중이다.
 
특히 AI 학습용 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센서 데이터를 중심으로 AI 친화 데이터 확대 개방을 추진하고 있다. AI 친화 데이터란 AI 서비스 개발 수요가 높고 AI 학습에 활용하기 적합한 형태의 데이터로 시계열, 완결성, 신뢰성, 범용성을 충족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고양시는 2026년까지 AI 친화 데이터 목록을 생성하고, AI 친화 특성별 활용성을 진단해 2028년까지 진단 결과에 따른 데이터 품질관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한 모든 데이터를 오픈 포맷(3단계 이상)으로 전환해 전환율 100% 달성을 목표로 연도별 전환 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AI 시대가 현실이 된 지금, 공공데이터는 지방자치단체가 의무적으로 개방해야 하는 공공재”라며 “고양시민과 관내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고품질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대 개방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