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특례 공모액 2년 연속 1조원 돌파 예상… '꼼수 상장'은 여전히 과제

  • 바이오 중심서 AI·로봇 등 스펙트럼 확대

  • 매출 부풀리기 등 제도 보완 필요성 여전

사진챗GPT
[사진=챗GPT]

올해 20주년을 맞은 기술특례상장 연간 공모 금액이 2년 연속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기대된다. 대규모 양적 성장세와는 별개로 일부 기업의 ‘꼼수 상장’ 논란과 사후관리 부실 문제는 제도의 숙제로 지적된다.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술특례 상장기업 공모금액(1~9월)은 약 5338억원이다. 4분기에는 AI·바이오 등 대형 기업들의 상장이 예정돼 있어 연말까지 최대 1조800억원까지 공모금액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1조465억원)에 이어 2년 연속 1조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술특례 제도 도입 이래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최근 3년간 공모 실적은 △2022년 6660억원 △2023년 8910억원 △2024년 1조465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인공지능(AI)·반도체·우주항공 등 첨단 산업군의 등장과 함께 기술특례 제도의 전략적 활용이 늘고 있다”며 “투자자들의 관심도 꾸준하다”고 말했다.
 
2005년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출범한 기술특례 제도는, 적자 상태의 기업도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만으로 상장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제도다. 과거 바이오기업 중심이던 상장구조는 최근 들어 AI·로봇·항공우주·에너지 등으로 산업 스펙트럼이 확대됐다.
 
9까지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은 약 35곳으로, 연말에는 40곳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 이는 전체 신규 상장의 절반 가까운 비중이다. 지난해에는 총 42개 기업이 해당 제도로 상장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바 있다.
 
특히 올해에는 AI 기반 반도체 설계, 생성형 AI, 의료영상 AI 등을 개발하는 테크기업들의 상장이 두드러진다. 투자금 유입도 활발하다. 하반기에는 바이오 신약 기업과 AI 기술 보유 기업들의 대형 딜이 예정돼 있어 공모시장에 활력을 더하고 있다.
 
단, ‘뻥튀기 상장’ 논란은 제도의 신뢰성을 흔드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거래소에 따르면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중 약 76%는 상장 이후 공모가 아래로 주가가 하락했다.
 
일부 기업은 실질적인 기술 기반보다는 매출 수치 부풀리기, 과도한 미래전망 제시 등으로 ‘기술성 평가’를 통과해 상장했다는 지적도 있다. 매출 30억원 미만의 관리종목 전환 우려 기업도 적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실제 기술력 검증보다는 평가기관의 ‘주관적 판단’에 기댄 사례가 많다”며 “결국 상장 이후 기업가치가 무너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부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거래소는 제도를 개선시켰다. 평가기관의 기준 강화, 주관사의 확약 물량 확대 등으로 책임성을 높이고, 상장 후에도 공시의무 강화를 통해 기업 사후관리를 촘촘히 하는 것이다.
 
또한 시장에서는 제도 완화와 사후관리를 병행하는 ‘투트랙’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구체적으로는 기술평가의 정량화, 다기관 교차평가 도입, 평가사 이해상충 방지 장치 등이 주요 과제로 꼽힌다.
 
한 자본시장 전문가는 “기술특례 제도는 혁신산업 육성을 위한 유효한 도구”라면서도 “시장 신뢰를 잃는다면 장기적으로는 부작용만 남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