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 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미·중 정상회담을 앞두고 호주와 ‘희토류 동맹’을 결성하며 대중국 압박에 나섰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만나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광물 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전 세계 광물 공급망을 틀어쥐고 있는 중국이 방위·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를 대미 관세협상의 지렛대로 활용하자, 광물 자원이 풍부한 호주와 협력을 강화해 공급망을 다변화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두 정상이 이날 공동 서명한 '핵심 광물·희토류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미·호주 프레임워크'에 따르면 양국 정부는 향후 6개월 동안 총 30억 달러(약 4조2000억원) 이상을 핵심 광물 프로젝트에 투자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미국 수출입은행은 22억 달러 이상 규모의 금융지원 의향서를 7건 발행하고, 이를 통해 총 5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도할 계획이다. 백악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회수할 수 있는 자원의 가치가 53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약 1년 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모를 정도로 많은 핵심 광물과 희토류를 확보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희토류 패권’이 유지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한 셈이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를 고집할 경우 항공기 부품 수출통제 등으로 맞대응에 나설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그들(중국)은 희토류로 우리를 위협했고, 나는 관세로 맞섰다. 그러나 나는 항공기와 같은 다른 많은 것들로 그들을 위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은 지난 9일 희토류 수출통제 대상을 7종에서 12종으로 늘리는 등 희토류 수출통제 조치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12월1일부터 시행된다. 따라서 중국이 협상 여지를 남겨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희토류 대응 방안을 마련해 대중국 압박에 나선 모습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미국이 한국·일본 등과 체결한 무역협정처럼 중국과도 공정한 협정을 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그는 시 주석과의 APEC 계기로 정상회담과 관련해 "한국을 떠날 때는 아닐 수도 있지만, 우리는 매우 강력한 무역 협정을 체결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양측 모두 만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협정이 체결되지 않으면 11월부터 대중 관세가 잠재적으로 현재 55% 수준에서 155%까지 인상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는 '중국의 2027년 대만 침공 가능성'과 관련, 인도·태평양에서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가 중국을 억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면서도 "하지만 그것(오커스를 통한 중국 억제)이 필요로 하게 될 거라고 보지 않는다"고 답했다. 또 "시진핑 주석과 관련해 그런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전혀 보지 않는다"며 "우리는 대만 문제 등과 관련해 아주 잘 지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