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문회를 하는 것인지 국정감사를 하는 것인지 구분도 명확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이재명 전 대통령의 도지사 시절 정책에 대한 공방으로 변질됐다. 당시 대선 유력 주자였던 이 전 지사의 공세가 대부분을 차지해서였다. 따라서 김 지사의 정책 검증은 뒤로 밀리고 정치 프레임만 난무했다.
하지만 올해 국정감사는 야당 의원들의 '맹공'은 없었고 새로운 이슈도 드러나지 않았다. 일부 야당 의원들의 정치적 공세는 있었으나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무뎠다. 그동안 언론보도 내용이 대부분이어서 맹탕에 가깝다는 평가도 나왔다. 반면 김동연 지사의 답변과 소신 피력은 거침이 없었다. 의원들의 지적과 제안을 받아들이면서도 공격에 대해선 정책 대안으로 맞섰다.
특히 일명 '김동연표 정책'에 대한 답변은 소신감이 넘쳤다. 우군이라 불리는 여당 민주당 의원들의 질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첫날보다는 이틀째 행정안위 국감이 압권이었다. 혐중시위·대북 오물풍선 살포·재난기본소득 지급·기후경제·경기도 RE100 정책·재생에너지 정책 등에 대한 여야 질의에 대한 김 지사의 답변과 효과에 대한 소신 피력이 거침없어서 더욱 그랬다.
통합보험으로 발전시켜 제도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중앙정부와 국회에서의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해서다. 답변에 그치지 않고 해결 방안까지 제시했다고 해서 높이 평가됐다. 경기도의 극저신용대출 사업에 대한 의원의 질의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며 왜곡된 사실을 수치까지 제시하며 정정해 주는 전문성도 보였다.
일부 언론에 보도된 오보를 바로잡기도 했다. 질의 의원은 물론이고 참석 의원들의 공감을 산 것은 물론이다. 이같은 정황에 비추어 이번 경기도 국감은 모범적인 정책 국감이라 불러도 손색이 없다. 김 지사는 이번 감사 준비를 그 어느 때보다 철저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국감 중간중간 신경전은 있었으나 대체적 평가는 김 지사가 준비한 철저함이 여야 의원들의 예봉을 무디게 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민선 8기 마지막 국정감사를 마친 김 지사의 존재감과 정치적 무게감, 저력이 다시 평가받기에 충분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