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개사동 패총, 본격 학술조사 착수

  • 신석기~삼국시대 유물 다층 분포…군산지역 고고학 체계 새로 쓸 전망

군산개사동패총조개껍질과노출된유물사진군산시
군산개사동패총조개껍질과노출된유물[사진=군산시]


군산시와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가 손잡고 군산의 대표 선사 유적인 ‘개사동 패총’(貝塚) 에 대한 학술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사는 두 기관이 지난 4월 체결한 ‘군산지역 문화유산 조사연구 및 공동사업 협력 업무협약’ 이후 첫 번째 공동 프로젝트다.

군산시는 27일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가 ‘군산 개사동 패총’의 정밀 학술조사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며 “조사 결과는 향후 군산의 고고학적 편년체계 확립과 지역 문화유산 보존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개사동 패총’은 과거 사람들이 버린 조개껍질 더미로, 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다층적으로 출토되는 복합 유적이다. 조개껍질층 두께가 50㎝ 이상으로 쌓여 있으며, 그 사이에서 토기·석기·골각기·동물 뼈 등이 부식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당시 사람들의 생활상과 자연환경을 생생히 보여준다.

연구소 관계자는 “청동기~삼국시대 유물이 한 지층에서 확인되는 사례는 매우 의미가 크다”며 “시기별 문화 변천을 파악하고, 지역 내 생활사 연구의 기준을 새롭게 세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 대상지 주변에는 선제리유적, 미룡동 고분군, 선유도 고려유적 등 다수의 중요 유적이 분포해 있어, 향후 상호 연계된 고고학적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군산은 서해와 금강·만경강 하류가 만나는 교통 요충지로, 선사시대부터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650여 곳의 문화유적이 밀집된 대표적인 고대 거점 지역이다.

군산시와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는 이번 패총 조사를 시작으로 △군산지역 문화유산 조사연구 및 공동사업 추진 △학술·행정적 지원 협력 △문화유산 가치 제고 활동 등 다각적인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군산의 고유한 역사와 문화를 새롭게 조명할 기회”라며 “국립완주문화유산연구소와 함께 군산다움, 즉 군산의 가치와 고유성을 찾아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