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우리 기업의 대규모 대미 투자 계획을 정부 주도 ‘3500억달러 투자 패키지’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미국 측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2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서 “정부에서 (투자금이) 나오는 것도 있지만, 기업이 자발적으로 투자하는 것도 가급적 (3500억달러 대미투자 패키지에) 많이 집어 넣어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희망을 맞춰줄 수 있도록 그렇게 (미국에) 얘기가 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윤후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미국은 연간 250억불을 8년 동안 내라고 하고, 우리는 연간 150억불을 10년 동안 투자하는 거로 (미국과) 협의하는 거 같다. 그런데 돈을 내는 주체가 (미국은) 한국 정부여야 한다는 거 아니냐’고 묻자 답한 내용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7일 공개된 미국 블룸버그 통신과 인터뷰에서 “투자 방식과 금액, 시간표, 우리가 어떻게 손실을 공유하고 배당을 나눌지 이 모든 게 여전히 쟁점”이라며 “일본도 하나의 준거가 될 수 있지만, 유럽과 미국의 협상이 또 준거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금융기관이 미국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V)에 현금 등으로 5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일본과 달리 유럽은 6000억달러 규모를 민간 기업이 주도해 투자하는 방식을 취했다.
우리 정부 역시 ‘유럽 모델’을 적용해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 당시 발표했던 국내 기업의 1500억달러 규모 미국 투자 계획을 3500억달러 패키지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설명이다.
조 장관은 ‘유럽식 방식으로 미국과 협상을 시도하고 있냐’는 윤 의원의 질의에는 “그런 방식에 대해 우리측 입장을 미국에 전달했다”며 “금액, 방식, 투자주체 그 외에도 세세한 내용으로 들어가면 합의를 끌어내야 할 것이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오는 29일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 전까지 관세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안보 분야 협의가 먼저 발표될지에 대해선 “미측과 조율 중”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