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잘하는 약?"...10대 ADHD 약 처방 폭증 "오남용 대책 시급"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최근 5년간 청소년의 ADHD 치료제 처방이 약 2.3배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김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전달받은 '19세 이하 메틸페니데이트 처방현황' 자료에 따르면 ADHD 치료제의 주요 성분인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 수는 2020년 6만5685명에서 2024년 15만3031명으로 약 2.3배(232%) 늘었다.

같은 기간 처방건수는 59만 2163건에서 126만 2961건으로 약 2.1배(213%), 처방량은 1883만 정에서 4560만 정으로 2.4배(242%) 늘었다.

연도별 처방 환자 수를 보면 △2020년 6만5685명 △2021년 7만8261명 △2022년 9만9742명 △2023년 12만5739명 △2024년 15만3031명으로 매년 꾸준히 늘고 있다.

다만 ADHD 치료제가 집중력 향상 약물로 인식되며 오남용 위험도 확대되고 있다. 메틸페니데이트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중추신경계를 자극, 처방 없이 복용하거나 과다 복용할 경우 수면장애, 식욕억제, 불안, 망상, 생체리듬 교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청소년 대상 ADHD 치료제 처방 및 오남용 통계를 별도로 관리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 관계자는 "식약처 통계는 의사가 처방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조제·투약량으로 집계돼 처방 의도가 반영된 오남용 여부는 파악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김영호 위원장은 "교육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는 합동 협의체를 가동해 예방 교육, 안전 사용 방안 마련 등 ADHD 치료제 오남용 관련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