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협상 타결] 경제계 "불확실성 해소" 안도··· 글로벌 경영 '리부팅' 나선다

  • 한경협 "중요한 외교·경제 성과"

  • 대한상의 "협력 더욱 공고해지길"

  • 반도체 관세, 추가협상 이어질 듯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에 경제계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대미 무역·투자 불확실성을 걷어내고 글로벌 경영 전략을 재가동하는 '리부팅(rebooting)'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전날 상호관세 세율은 15%로 유지하고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총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금 중 2000억 달러를 현금 투자하되 연간 한도를 200억 달러로 제한하기로 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번 합의에 대해 "양국이 관세 협상과 대미 투자에 대한 최종 합의를 도출한 데 대해 환영의 뜻을 표한다"며 "교역과 투자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첨단 분야에서 상호 국익을 증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자동차, 자동차 부품, 의약품 등 주요 품목에서 한국 기업들이 주요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조건의 관세를 적용받게 됐다"며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강석구 대한상공회의소 조사본부장은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대미 무역, 투자 불확실성이 상당히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첨단산업 분야의 투자와 기술교류, 인적교류 등 협력이 한 단계 더 공고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무역협회는 "투자 분야에서 연간 200억 달러 한도와 상업적 합리성 원칙 등 외환 안정을 위한 안전장치가 마련돼 양국이 지속 가능한 협력의 틀을 공고히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새로운 투자·수출 전략을 모색할 기반이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다만 대만과 대비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기로 한 반도체 분야의 경우 아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지난 7월 말 한국은 '최혜국 대우'를 보장 받았으나, 이번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서 '대만보다 낮지 않은 관세율 부과'로 조건이 변경됐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대만은 미국과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이라 관세율이 어느 정도가 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며 "구체적인 적용 방식과 범위를 놓고 양국 간 추가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번 관세 협상 과정에서 정부를 측면 지원하며 '민간 외교' 중요성을 알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의 글로벌 경영 행보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국내 기업 총수들에게 관세 이슈는 '리더십 강화', '해외 사업 확장', '전략 산업 성장 기반 확보' 등 세 가지 기회를 동시에 안겨준 전환점"이라며 "협상 타결로 대기업의 미국 내 생산·투자·공급망 다변화와 더불어 제도적 신뢰가 높아지면서 글로벌 경영의 스케일 업이 가능해졌다"고 평가했다. 이어 "특히 반도체·인공지능(AI)·조선 등 전략 산업에서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산업 포트폴리오 확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