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구조적 성차별 해소가 성평등부의 기본 과제 "

  • 조직 개편 후 첫 국정감사...'젠더폭력' 대응강화 약속

  • '부처 방향성 혼동' 우려 지적에..."성평등 가치 실질적 구현할 것"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성평등가족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성평등가족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이 4일 "가장 기본적인 정책과제는 구조적 성차별 문제의 해소라는 것에 전혀 흔들림이 없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이날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부처의 역할을 묻는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의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정 의원은 또 "새로 신설되는 성평등정책관실의 주무부서가 성평등정책과가 아닌 성형평성기획과가 주무부서로 된 점이 우려스럽다"며 "성평등가족부 출범 후 장관의 일정도 주로 청년과의 소통에 집중, 구조적 (성차별 해소)를 위한 소통은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원 장관은 "역차별이라는 용어보다는 서로 다른 성별이 불이익으로 느끼는 문제라는 점을 말하고 싶다”며 "이에 대해 부처가 듣고 사회통합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꼬 설명했다.

이어 "공론의 장에서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이에 대한 이해를 높여 공정과 공존을 위한 모색을 하는 것"이라며 "(구조적 성차별 해소라는) 성평등가족부의 정책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원 장관은 모두 발언에서 ‘젠더폭력 대응체계 강화’를 약속했다. 그는 “젠더폭력과 관련해 범부처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피해자 보호와 지원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중앙과 지역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기능을 강화해 피해자 보호를 내실화했고, AI를 활용한 딥페이크 성범죄물 탐지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사업자에게 자동으로 삭제요청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 고도화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내년부터는 아동·청소년 성착취 피해자에게 자립지원수당을 신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노동시장 내 성평등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성별 임금 현황을 공개하는 ‘고용평등 임금 공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 장관은 “이번 조직 개편이 단순한 명칭 변경에 그치지 않고 성평등 가치가 실질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