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회적 약자 위한 '2025 희망의 인문학' 총 833명 수료

  • 올해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꿈이룸 과정' 신설...10명 취업

인문학 강의를 듣는 모습 사진서울시
인문학 강의를 듣는 모습.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올해 ‘희망의 인문학’을 통해 총 833명이 수료했다고 13일 밝혔다.

특히 올해 새롭게 신설된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는 ‘꿈이룸 과정’을 통해 56명이 자격증을 취득했고, 그중 10명이 취업하는 성과를 거뒀다. 올해 신청자는 986명으로, 수료율은 84%에 이른다. 

희망의 인문학은 2008년 첫걸음을 뗀 사회적 약자를 위한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시작해, 2012년까지 5년간 4485명이 수업에 참여했다. 2022년 다시 시작된 프로그램은 올해까지 2721명의 수료생을 배출하며 총 7206명의 인문학 동문을 만들어냈다.

특히 올해는 참여자의 자존감 회복이 실질적인 자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꿈이룸 과정’과 ‘인문학프렌즈 과정’을 신설했다. ‘꿈이룸 과정’은 실제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 경비원신임교육, 3t 미만 지게차 등의 자격증 취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56명이 자격증을 취득했고 그중 10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인문학프렌즈 과정’은 수료생 사례 관리 프로그램이다. 사회 복귀를 위한 신용 회복, 저축 관리 등 금융교육을 비롯해 취업 상담, 창업 상담 등을 지원했으며 총 14명이 참여했다.

희망과정은 철학, 글쓰기, 문학, 역사 등 인문학을 중심으로 체험, 심리·건강, 문화·예술 등 65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총 37개 시설에서 799명이 수강해 최종 669명(84%)이 수료했다. 또한 인문학 심화 학습모임 ‘성동인문대학(성동지역자활센터)’, 그림 활동 모임 ‘드림스케치(비전트레이닝센터)’ 등 수료 후 자립 의지를 다질 수 있도록 소규모(동아리) 자조모임 9개를 지원했다.

행복과정은 노숙인과 저소득 시민이 직접 서울시립대학교와 숭실대로 찾아가 강의를 수강하는 방식이다. 문학·역사·철학을 기반으로 한 인문학 교육과 이론 수업을 연계한 역사·문화 유적 답사, 음악·미술 문화교육 강좌도 진행했다. 서울시립대에서는 46명, 숭실대에서는 48명이 수료했다.

시는 이날 오후 2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2025년 희망의 인문학’ 수료식을 열어 수료자를 축하했다. 이날 행사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원용걸 서울시립대 총장, 장경남 숭실대 학사부총장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자존감을 회복하고, 내일을 향한 희망을 품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회복”이라며 “희망의 인문학으로 여러분의 배움과 용기가 누군가의 희망으로 이어지길 바란다”라고 수료생들의 앞날을 응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