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근 안산시장 "언어와 문화 차이 넘어 함께 성장할 교육환경 만드는게 중요"

  • 다문화 교육 강화로 글로벌 인재 양성 나서

  • 산업도시 특성에 맞춰 다문화 교육 혁신 추진

  • 전국에서 가장 많은 다문화 학생 보유...전체 학생 약 13%

이민근 안산시장사진안산시
이민근 안산시장.[사진=안산시]


이민근 경기 안산시장이 15일  "아이들이 언어와 문화적 차이를 넘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만드는 게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다문화 교육 강화 의지를 재확인했다.
 
이 시장은 "안산시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다문화 학생을 보유한 도시로, 전체 학생 중 약 13%가 다문화 배경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안산시의 다문화 학생 수는 초등학교 5213명, 중학교 2055명, 고등학교 1166명 등 총 8434명으로 매년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다문화 학생 비율은 학령 인구가 감소하는 상황 속에서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교육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게 이 시장의 의지다.

 
이 시장은 다문화 학생 비율 증가 추세에 맞춰 이를 위한 교육 환경을 적극적으로 조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보고, 다문화 교육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다양한 정책을 소개했다.
 
먼저, 이 시장은 다문화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 수요에 대응하고자 한국어 교육과 상호문화 교육을 강화하면서 포용적이고 소통이 가능한 교육 환경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다문화 학생들이 안정적으로 공교육에 진입할 수 있도록 돕고자 상호문화공유학교를 설립하고 있는 게 바로 그것이다.
 
원곡초 부지에 건립중인 이 학교는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기초학력 지원을 중심으로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특히, 다문화 학생뿐만 아니라 내국 학생들 역시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고 이 시장은 귀띔했다.
 
상호문화공유학교는 단순한 교육 공간의 기능을 넘어, 지역 내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상생하는 공동체 문화를 확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장은 상호문화공유학교의 경우, 교육 공간을 넘어 지역 사회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거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진안산시
[사진=안산시]


이 시장은 다문화 밀집 지역 특성에 맞는 공립형 대안학교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대부도에 설립될 예정인 (가칭)경기안산1교는 공립학교의 안정성과 대안 교육의 창의성을 결합한 새로운 모델로, 다문화 학생들에게 이중언어 교육,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국제 문화 이해 등 다양한 특화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이 학교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글로벌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며, 지역 교육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다문화 학생들이 언어와 문화 장벽을 넘어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교육 환경도 제공중이다.
 
각 교실에는 디지털 칠판과 실시간 통·번역 프로그램을 도입, 학생들이 동시통역 환경에서 원활하게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다문생 학생 수 급증에 발맞춰 다양한 교육 정책을 통해 포용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교육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AI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도 강화하고 있다.
 
ChatGPT 체험형 수업과 AI 학급별 계정 제공을 통해 교사와 학생 모두 최신 AI 트렌드를 학습하며, 이를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사진안산시
[사진=안산시]


이와 함께 이 시장은 다문화 학생들의 급증에 대응하고자 교육의 질을 높이고, 학생들이 사회에서 차별 없이 성장할 수 있도록 포용적인 교육 환경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한편 이민근 시장은 "모든 학생들이 차별 없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