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코인마켓캡 기준 오후 2시 비트코인은 전날보다 5.3% 하락한 8만998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2시 30분쯤 8만9600달러 대까지 하락하며 낙폭을 키웠다. 비트코인이 9만달러 선을 밑돈 것은 지난 4월 미국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며 가격이 7만4400달러까지 급락했던 이후 처음이다.
시장에서는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이번 하락세의 핵심 요인이라고 보고 잇다. 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게 낮아지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위축되고, 기술주·가상자산 등 위험자산군 전반이 압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트코인 역시 엔비디아 등 고평가 우려가 제기된 기술주와 함께 위험 자산으로 분류돼 타격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업계에서는 비트코인 ‘4년주기론’(비트코인 가격이 약 4년 단위로 상승·조정을 반복한다는 주장)에 따라 “현 시점이 상승 사이클의 막바지 아니냐”는 불안감이 퍼진 점도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코인마켓캡이 제공하는 ‘가상자산 공포·탐욕 지수’는 이날 15를 기록하며 ‘극단적 공포’ 상태를 나타냈다. 이 지수는 0에서 100 사이로 표시되며, 숫자가 0에 가까울수록 극도의 공포, 100에 가까울수록 극도의 탐욕을 의미한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비트코인은 미 연방정부 셧다운으로 유동성 줄어든 데다가, 미 12월 금리 인하와 관련해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자, 미 증시와 동반 하락하고 있다”면서도 “다만, 최근 연방정부 셧다운이 해제되면서 유동성이 다시 풀릴 여지가 있어 비트코인이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