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에 사는 30대 무주택 가구의 주택 소유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24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 주택소유통계와 국가통계포털은 '서울 가구주 30대 주택소유·무주택 가구 추이'를 공개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가구주 기준) 무주택 가구는 52만7729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1만7215가구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5년 이후 최대치다.
무주택가구 증가 폭은 2021년 3000가구대에서 2022년 1만5000가구대, 2023년과 지난해에는 1만7000가구대로 늘었다.
반면 서울의 30대 집주인은 3년째 줄어 지난해 서울 30대 주택 소유가구는 전년보다 7893가구 감소, 역대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다.
무주택 가구가 늘고 주택 소유가구는 줄면서 주택 소유율 비중은 더욱 낮아졌다. 지난해 주택 소유율은 25.8%였다.
서울 30대 주택 소유율은 2015년 33.3% 수준이었으나 2020년 30.9%까지 하락, 2021년(31.2%) 소폭 반등한 뒤 2022년(29.3%) 다시 떨어져 25%대까지 내려왔다.
특히 정부가 올해 내놓은 부동산 정책으로 주택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지며 청년층 자조도 더욱 커지고 있다.
토지주택연구원이 지난달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9∼39세 청년 무주택 1인 가구 700명을 대상으로 작년 8∼9월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3.2%가 '향후 내 집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주택 구입자금 지원'(24.3%)과 '전세자금 지원'(22.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18.6%), '공공분양주택 공급'(14.4%)이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