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 힘, 지방을 키우다] 안전 인프라 확충·취약계층 지원…가스안전공사, 지역경제 기여 확대

그래픽아주경제신문
[그래픽=아주경제신문]

12년째 충북혁신도시에 둥지를 틀고 있는 한국가스안전공사는 ‘가스안전 전문기관’이라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지역 안전 인프라 확충과 취약계층 지원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단순한 지방 이전을 넘어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상생 파트너십을 강화하며 공공의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는 평가다.

1974년 고압가스보안협회로 출범해 1979년 현재 사명으로 개편된 공사는 국내 유일의 가스안전 전문기관이다. 출범 이후 40여 년간 가스 사고 예방에 힘쓰는 등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며 국내 가스안전 문화를 선도해왔다.

2013년 서울 서초구에서 충북혁신도시로 본사를 이전한 이후 공사는 지역인재 채용에서도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 실제 충북혁신도시 입주 11개 공공기관 중 가장 많은 지역인재를 채용하고 있으며 2018년 지역인재 의무채용제를 도입한 이후 올해 3분기까지 지역인재 161명을 뽑았다. 청년뿐 아니라 시니어·장애인·고졸 등으로 채용 폭도 넓히고 있다.

지역사회 대상 공공서비스 역시 지역 수요에 맞춰 확대하고 있다. 충북도와 인근 지역을 중심으로 취약계층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안전 인프라 확충 등 실질적인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이 매년 겨울 진행되는 ‘충북 소외계층 겨울나기 생필품 꾸러미 전달’이다. 매년 충북 11개 시·군 복지시설과 독거가구 등 총 770가구에 생필품 꾸러미를 제작해 전달하고 있다. 혹서기·혹한기에는 지역 노인복지기관과 연계해 냉·난방기 점검, 가스안전 점검, 생필품 지원 등을 병행하며 취약계층 안전을 세심하게 관리하고 있다.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가스안전 복지등기 사업’도 대표적인 지역밀착형 안전 서비스다. 우정사업본부와 협력해 도서·벽지 등 점검이 어려운 지역에 가스시설 자가점검 요령을 담은 홍보물(등기우편)을 발송하고, 집배원이 등기 배달 과정에서 가스안전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공사로 회신하는 방식이다.

공사는 이를 분석해 위험가구를 현장에서 확인하고 위험시설을 개선한다. 지난해에는 도서지역 2만6222가구에 복지등기를 발송해 76개소에 대해 위험 요소를 개선했다. 올해는 전국 산간 지역 약 3만가구로 사업을 확대해 점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가구를 대상으로 사고 예방에 실질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고령자·치매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타이머콕 무료 보급사업’도 실질적인 안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타이머콕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하는 장치로, 사용 부주의로 인한 화재와 가스사고 예방에 효과적이다. 2008년 시범사업 이후 약 123만가구에 보급됐으며 주택 내 가스레인지 과열 화재는 2012년 12건에서 2024년 1건으로 급감했다.

생활안전 중심 사업을 넘어 지역 내 미래 안전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충북혁신도시 인근에 위치한 수소안전뮤지엄은 친환경·미래 에너지 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표 시설로, EBS와 협업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개소한 ‘꿈틀놀이터’는 충북 제1호 품꿈성장터로 지정되기도 했다.

박경국 공사 사장은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은 지역과 함께 성장하며 신뢰받는 안전문화를 만들어 가는 데 있다”며 “앞으로도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안전복지와 상생활동을 확대해 ESG 경영의 실질적 가치를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