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혁명 3년, K-AI의 현주소] 밤낮 없는 과기정통부...'글로벌 AI 주역' 추격전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 11월 30일 오픈AI가 챗GPT를 세상에 내놓은 순간부터 인공지능(AI)은 전 세계 산업과 일상을 뒤바꾸는 실질적 힘으로 떠올랐다. 3년이 지난 2025년 11월 한국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돼 AI 전담 기구 신설, 소버린AI, AI 고속도로 구축 등 글로벌 톱3를 위한 행보를 거침없이 이어가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과기정통부 내 AI 관련 공무원들은 이재명 정권 출범과 함께 사실상 주 7일 근무를 이어가고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가장 치열하게 움직여야 하는 분야인 만큼 모두가 밤낮은 물론 주말도 없이 일하고 있다"며 "부총리급 격상 이후 조직원들 어깨가 더욱 무거워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기존 실·국 단위를 넘어 부총리급 ‘AI·디지털혁신위원회(가칭)’를 신설해 범부처 AI 정책을 총괄·조율하는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기로 했다. AI전략기획단, AI안전연구소, AI인프라전략실 등이 새로 생기며 예산 집행 권한도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핵심 키워드인 ‘소버린AI(주권AI)’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2027년까지 국산 AI 반도체 10만개 규모의 공공 클라우드 구축, 초거대언어모델(LLM) 2~3개 독자 개발, 데이터 주권법 제정 등을 추진한다. 한국형 초거대AI(하이퍼클로바, 엑사원 등)를 공공·산업용으로 개방하는 ‘K-소버린AI 생태계’ 구축에만 3조원 이상을 투입한다.
 
100Gbps급 광통신 백본과 에지 데이터센터를 연결하는 ‘AI 고속도로’는 이미 착공했다. GPU 확보도 순조롭다. 상반기 2만장 이상 최신 GPU를 공공·대학·스타트업에 배정했고 2026년에는 5만장 추가 도입을 확정 지었다.
 
당면한 과제는 인재다. 전문가들은 “GPU는 확보했지만 매년 세계 최고 수준의 AI 연구 인재는 미국으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지적한다. 과기정통부는 연봉 상한 폐지, 세제 혜택, 국적 취득 특례 등 파격적인 인재 유턴책을 준비 중이지만 효과를 보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