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끝에 몰린 저신용자...1년새 51만명 증가

경기침체 한파로 서민들의 생활고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신용도가 낮은 저신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물론 대출 받기가 하늘의 별따기 수준으로 악화되고 있다.

12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금융권에 따르면 신용등급이 7~10등급인 저신용자는 지난 1월말 현재 813만8020명을 기록했다. 이는 2007년 말에 비해 51만4095명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1~3등급은 1127만9008명으로 70만244명이 늘어났다.

이처럼 신용등급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저신용자들의 대출 문턱은 더욱 높아졌다.
신용등급이 6등급 이상이어야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어 저신용자들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또는 대부업체를 통한 대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 

문제는 경기침체로 저축은행들이 좀처럼 자금을 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말 예금과 적금을 포함한 저축은행들의 예수금은 60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3개월만에 3조6000억원이 늘어난 것이지만 같은 기간 대출금은 54조5000억원으로 7000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저축은행들의 예수금은 1월에도 2조5000억원 증가했지만 대출은 이의 4분의1에도 못 미치는 6000억원 증가에 머물렀다.

카드사의 심사가 까다로워지면서 카드업계의 카드론도 급격히 줄고 있다. 5개 전업카드사와 15개 카드 겸영 은행의 지난해 4분기 카드론 실적은 4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분기 대비 1조원 감소한 것이다.

같은 기간 약정 한도에서 자유롭게 빌릴 수 있는 현금서비스는 22조9000억원을 기록하면서 7000억원 늘었다.

자금 차입이 어려워진 등록 대부업체들 역시 신규 대출을 줄이면서 45개 중대형 대부업체의 2월 대출은 77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의 590억원에 비해 늘어난 것이나 12월의 846억원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서민들의 돈줄이 마르면서 사채 피해는 급증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접수된 상담과 신고는 4075건으로 전년 대비 19.1% 늘어났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은 저신용자 전용 대출상품을 개발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1월 저소득층의 금융이용 애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금융회사와 공동으로 태스크포스를 구성했으며 우리, 전북은행 등 14개 은행이 7등급 이하의 저신용자 또는 취약계층을 위한 별도의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들 은행은 연 10%대의 금리 대출상품을 개발, 모두 1조3600억원의 신규대출을 취급하기로 하고 2월말 현재 전북, 하나 등 5개 은행이 1597억원의 대출을 실시했다.

또 현재 우리, 신한, 국민 등 3개 은행이 참여하는 한국이지론의 '서민맞춤대출안내서비스'에 농협 등 13개 은행이 상반기에 추가 참여키로 했다.

금감원은 이 서비스를 통해 저소득 서민들이 각 은행들의 저신용자용 대출상품을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은행권이 저신용자 전용 대출상품을 본격적으로 취급하면서 24만명의 저신용층이 헤택을 볼 전망이다.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