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미만 '선천성 기형'환자 연평균 3.0%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최근 4년동안(2005~2008) 6세 미만 소아의 선천성 기형 환자를 분석한 결과 실환자수는 2005년 5만9782명에서 2008년 6만5176명으로 연평균 3.0%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로는 남아(男兒)는 3만4686명에서 3만8005명으로 연평균 3.2%, 여아(女兒)는 2만5096명에서 2만7171명으로 연평균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경계통의 선천성 기형은 2005년 893명에서 2008년 1376명으로 연평균 15.5% 증가했으며 생식기관의 선천성 기형은 2005년 4321명에서 2008년 5618명으로 연평균 9.3% 증가했다.

지난 4년간의 진료비는 2005년 271억원에서 2008년 373억원으로 연평균 11.5% 증가했으며 남아는 2005년 155억에서 2008년 208억으로 연평균 10.6%, 여아는 2005년 116억에서 2008년 165억원으로 연평균 12.7% 각각 증가했다.

신경계통의 선천성 기형은 2005년 6억원에서 2008년 14억원으로 연평균 33.3%(남아 22.3%, 여아 52.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환자수와 진료비 증가의 원인에 대해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무엇보다 2006년의 6세 미만 소아의 입원 본인부담 면제와 2007년의 외래 본인부담 경감 등 소아에 대한 보장성 강화정책으로 의료이용 접근성이 높아진 때문으로 보인다"며 "특히 이러한 의료이용 접근성 향상은 저소득계층에 더 크게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같은 기간 동안 소득 계층에 따른 내원일수를 보면 상위 20%는 연평균 4.6% 증가한 반면 하위 20%는 연평균 17.6%나 증가했다.

질환별로도 염색체 이상 및 신경계통의 선천성 기형 등 모든 질환에서 소득 하위 20%가 상위 20%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관계자는 "앞으로도 선천성 기형 질환에 대한 조기검진과 치료확대를 위한 정책개발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덧붙였다.

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