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부터 가동될 한나라당 중진협의체가 세종시 운명을 좌우할 중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세종시 해법을 두고 각각 ’원안 수정‘과 ‘원안 고수‘라는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는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친박근혜)계가 승부를 가를지, 또 다른 접점을 찾을지에 대한 방향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라 친이-친박간 정치적 타협안을 모색할 가능성도 지켜봐야 할 부분이다.
2일 한나라당은 중진협의체 구성에 착수했다. 다만 시작부터 확연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구성도 전에 친이-친박간 협의체 구성과 절차, 방식 등을 놓고 차질이 빚어지고 있어서다.
또한 친이계는 이를 통해 세종시 합의안 도출을 기대하고 있는 반면 친박계는 수정안 철회 이외의 어떤 절충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혀 갈등은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친이 고승덕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친이, 친박 좀 섞고 중도도 끼워서 하면 구성은 될 것 같다”며 “중진들이 분명히 경륜에 따라 지혜를 갖고 있기에 절충안을 한 개 또는 두 개 정도로 압축해주면 의총에서 논의가 쉬울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친이 핵심 의원은 “중진협의체는 절충안 도출 뿐 아니라 그 절충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까지 결정해야 한다”면서 “결정 시한은 4월 국회 이전까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친박 중진인 홍사덕 의원은 “중진협의체 구성의 전제조건은 정부의 세종시 개정안 입법예고 철회”라며 “언제든지 (세종시법 개정안을) 국회로 보낼 준비를 해놓고 중진협의체를 구성한다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처럼 친이-친박간 충돌이 지속되고 중진협의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상태로 세종시법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되면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청와대가 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중대 결단’ 발언을 언급한 것도 지지부진한 한나라당내 논의에 ‘국민투표’라는 압박용 카드를 꺼내든 것으로 해석돼 중진협의체 구성에 있어 파장이 불가피한 것이다.
한편 국민투표 논란이 급속히 번지자 청와대는 긴급 진화에 나선 모습이다.
청와대 홍보라인 관계자는 2일 “중대 결단이 국민투표라고 말한 적은 없다”며 “현재로선 국민투표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민주주의 대의기능이 작동하지 않고 있는 점은 유감”이라면서도 “한나라당 중진협의체의 논의를 지켜보겠다”고 말해 사실상 중진협의체에서 해법이 나오지 않으면 이 대통령이 또 한번 중대 결심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다.
결국 이번 주 세종시 해법 논의장이 될 중진협의체에서 양 진영이 토론하는 데 그치지 않고 어떤 ‘합의안’을 도출해낼지가 중대 분수령이 되는 셈이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