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트컴퍼니 : 경영을 디자인하는 창조 기업/ 곤노 노보루 지음/유주현 옮김/ 이콘 출판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일본 니가타 현의 도요(東洋)이화학연구소. 크지 않은 규모의 금속가공회사지만 세계적 기업 애플의 노트북과 아이팟의 금속 소재 겉면을 만드는 회사다. 이 시골 공장의 장인들은 아이팟 뒷면을 하나하나 다듬어 거울처럼 반짝거리게 만든다. 왜 아이팟의 뒷면을 거울처럼 광이 나게 만드는 걸까?
아이팟의 경우 주력 모델의 겉면에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보급형에는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한다. 노트북의 경우도 일반용의 겉면은 플라스틱 소재, 전문가용은 금속소재가 들어간다. 애플은 겉면 소재의 선택에도 전략적인 의도를 담는다. 여기서 또 다른 의문이 생긴다. '왜 다른 제조사들은 애플이 하는 만큼 뒷면 처리에 신경을 쓰지 않는가'다.
이런 차이에서 단순한 기술 기업과 혁신적 창조 기업이 갈린다. 지식 경영의 대가이자 '아트컴퍼니'의 저자인 곤노 노보루는 이 책을 통해 이런 차이를 가져오는 혁신적 창조 기업의 조건을 소개한다. 저자는 이런 창조기업을 '아트 컴퍼니'라고 표현한다. 아트 컴퍼니란 지식을 창조하고 효과적으로 디자인하는 기업을 말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이런 기업은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 품질만을 추구하는 것에서 벗어나 전체 프로세스를 디자인함으로써 제품이나 서비스에 스토리나 경험을 담는다고 밝힌다.
21세기 들어 비즈니스 세계의 패러다음은 기계에서 인간으로 정보에서 지식으로, 경제적 가치에서 문화적 생태적가치로의 전환이 있었다. 제품의 정의도 단순한 물건이 아닌 콘셉트와 스토리, 경험의 가치가 담겨야한다는 것이다. 이제 경쟁력의 근원은 '종합하는 힘'에 달려있다는 게 저자의 생각이다.
애플 뿐만 아니라, 마쓰시타전기(파나소닉)와 IBM에서도 이런 노력을 엿볼수 있다. 마쓰시타의 부활을 이끈 나카무라 구니오 회장은 부품·제품·서비스가 따로 놀 때 가격 경쟁에 휘말리는 것을 지켜봤다. 그는 "이런 방식이 계속 되면 우리가 만드는 제품은 그저 단발성 제품으로 전락한다"며 종합하는 힘을 회사에 심기 위해 애썼다. 글로벌 컴퓨터 업체 IBM도 서비스란 가치를 창출하고 구현하는 생산자와 고객 간의 상호작용이라고 정의하면서 '서비스 사이언스'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이런 제품의 변화를 시간·감성·사회라는 세가지 축으로 세분화했다. 즉 이제는 제품에 생활주기의 변화, 인간의 감성, 사회적 책임을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간·감성·사회'를 종합하는 디자인 능력, 지식 디자인 방법론을 경영의 중심에 놓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식 디자인은 지역성이나 문화를 바탕으로 생태적 가치, 더불어 사는 삶, 자연조화에 비중을 두는 방식이다. 창조 경영의 선두를 달리는 기업의 공통점인 '제품에 인간성을 부여한다' '감성적 요소를 중시한다'와 같은 가치는 이런 지식 디자인의 바탕에서 나왔다. 지식 디자인의 출발점은 결국 제조의 강점을 최대한 살리는 방법으로 귀결된다는 것이다.
이어 저자는 지식 디자인에 비롯한 창조경영을 추구한 기업의 사례를 든다. 영국에서 혁신의 대명사로 불리는 청소기 제조업체 다이슨, 상호 모순된 요소를 디자인으로 녹여낸 이탈리아 구두 제조업체 캠퍼, 소아 당뇨 환자를 위해 개발된 가장 작은 주사바늘 나노파스 33 등이 그것이다. 또한 소니의 몰락과 삼성의 도약 원인 등 생생한 사례에서 지식 디자인의 차이가 낳은 결과를 살필 수 있다.
asrada83@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