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금융권 노사가 제 4차 산별교섭을 앞두고 각을 세우고 있다. 다음달 1일 시행을 앞둔 타임오프제도(근로시간면제제도) 도입 때문이다.
노사는 지난 4월부터 3차례나 협상을 벌였으나 이 문제로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 4차 교섭도 현재로서는 서로의 입장차가 너무 확연해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와 금융노조는 오는 23일 오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제 4차 산별교섭을 벌인다.
하지만 교섭이 시작되기 전부터 서로의 입장에 대해 공방을 벌이고 있어 협상 결과가 우려된다.
사측은 여전히 타임오프 구간을 세분화해 노조의 유급전임자 수를 미리 확정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금융노조는 구간별 최고한도를 우선 보장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현재 295명의 전임자수를 162명으로 축소해야하는 상황에서 사측의 주장대로라면 이 수는 더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사측은 이어 노조가 임금을 지급해야하는 무급전임자 수에 대해서도 노사가 합의해 정할 것을 주장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개정 노동법은 전임자 급여지급 문제만 다루어야 하므로 기타 조합 활동에 대해선 기존 노사합의를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이미 합의된 노조 전임자 수를 유지하고 안 하고는 오롯이 노조가 결정할 일"이라고 반박했다.
전임노조 간부의 신분에 관해서도 입장이 엇갈렸다.
사측에서는 유무급의 여부를 떠라 전임노조 간부의 신분은 휴직상태에 있는 근로자와 유사하다고 보고 있다. 반면 노측은 유급전임 간부의 경우 직원에 준하는 신분으로 처우 면에서 차별을 해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다.
노조 측은 "무급전임자의 경우 휴직자에 준하더라도 임금을 제외한 근속연수와 복리후생 등에서 기존 직원과 차별을 두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노사는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유·무급 전임자에 대한 신분 및 처우 등을 노동부에 유권해석을 건의키로 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3번이나 협상을 했는데 그동안 나온 것은 다음 협상일자 정도에 불과하다"며 "현재 노사의 입장차가 너무 커 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으며 노동부 유권해석까지 건의하는 등 산으로 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sommoyd@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