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럴만한 충분한 이유도 있다. 사상 유례없는 경제위기가 가져온 한파로 우리 국민들은 덜쓰고, 저축하면서 지난 2년을 버텨왔다. 다행히도 우리 경제가 세계 최고 속도로 빠르게 경기를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서민들과 기업, 정부가 저마다 고통을 감내했었기 때문임은 불문가지다. 기업들도 이번 추석에는 많게는 9일까지 쉬게 해주겠다는 곳도 있다고 한다. 두둑한 선물보따리와 보너스도 기다리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우리 경제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 온 과천 경제부처는 명절을 앞두고 내년 예산안 짜랴, 서민물가 살펴보랴, 청년층 취업대책 세우랴,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相生)방안 마련하랴 부산을 떤다. 대통령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현장점검을 강화하라는 지시가 떨어진 터라 민생탐방을 소홀히 할 수도 없어 이래저래 바쁘다.
일단은 긍정적이다.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이 새벽 인력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두달씩이나 월급이 체납돼 있는 건설 일용직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해결할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그나마 값산 노동력으로 밀려드는 외국인 노동자들 탓에 일자리 찾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는 한 노동자의 하소연은 우리네 사회의 우울한 자화상이다.
들썩이는 물가도 안정시켜야 겠지만 태풍 '곤파스'와 집중호우로 엄청난 손실을 본 과수재배농가와 농민들에 대한 적절한 피해보상책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이번 명절만큼은 "쌀농사 못짓겠다"면서 자식같은 벼이삭을 태워버리는 안타까운 소식을 안들었으면 좋겠다. 풍년이 들어도 농민들의 가슴은 마냥 좋지 만은 않다. 그렇지 않아도 쌓여가는 재고에 매년 쌀 의무 수입물량이 밀려들고 있어 농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나 이번 명절만큼은 경기회복의 축포를 맛보기 어려운 저소득층과 소외된 이웃들에게도 따뜻한 온기가 전달되도록 정부가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고아원이나 양로원 등 취약계층은 명절에 닥쳐 느끼는 소외감이 더욱 크다. 올데 갈데 없는 이웃들에게 국가가 든든한 버팀목이라는 인식을 심어줘야 한다.
마침 16일 기획재정부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국민경제대책회의가 열렸다. 일정 기준 이하 맞벌이 부부의 보육료를 전액 지원키로 한다든지 전문계고 진학자에게는 수업료 전액을 지원키로 하는 등의 내년 예산안 편성방향이 나왔다. 이 대통령은 회의 직후 재정부 기자실을 이례적으로 방문해 출입기자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는 여유를 보였다.
기자실을 빠져 나가면서 청사에서 일을 해주는 한 아주머니와 청사경비를 맡고 있는 방호원들과도 일일이 악수를 나누며 덕담을 건네기도 했다. 요즘 들어 부쩍 늘어난 서민행보의 일단이 추석명절로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