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불균형·신흥국 자본유입 등 점검·정책공조
실패시 서울정상회의에서 합의…'서울선언' 추진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최근 미국과 중국 등이 벌이고 있는 '환율전쟁'이 오는 22일 경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도 주요 이슈로 제기될 전망이다.
18일 기획재정부와 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 등에 따르면 G20 회원국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은 환율 문제 등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해 양자 회담과 더불어 전체 회의를 통해 난상 토론을 벌일 계획이다.
이번 회의에서 환율 문제와 관련해서는 22일에 치열한 논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참석자들은 22일 오후 3시 30분부터 제1세션인 '세계경제 동향 및 전망'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으로부터 현황 보고를 받고 환율 불안에 따른 글로벌 불균형, 신흥국으로는 자본유입 확대 등을 점검하며 시장에 G20의 정책 공조 메시지를 줄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특히 이날 오후 7시부터는 회원국 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만 참석한 가운데 만찬을 하면서 최근 세계 경제의 핫이슈로 부각된 환율분쟁 등 글로벌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윤증현 재정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G20 의장국 자격으로 '환율 전쟁은 곧 공멸'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주요국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중재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G20 셰르파 회의가 지난 14,15일 이틀간 인천 송도에서 이창용 G20 기획조정단장 주재로 열려 환율문제 조율에 나섰으며 18일부터는 상하이에서 IMF가 주재하는 중앙은행총재회의가 열린다.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도 지난 15일 중국이 최근 수주간 위안화 약세 해소에 진전을 이뤘다고 밝혀, 최근 미국 등 서방국가들과 중국 간의 통상관계 악화 원인으로 지목됐던 위안화 절상과 관련해 진전이 있었음을 인정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G20 회원국들은 기본적으로 국제 공조를 통해 지속 가능한 균형 성장을 이루자는데 동의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환율 문제가 이런 틀을 깨는 것을 바라지 않고 있으며 주요국들 또한 충분히 인식하고 있어 서울 정상회의에 앞서 적절한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경주 G20 회의 등을 통해서도 환율 문제가 진정되지 못할 경우 우리가 의장국 직권으로 환율 중재안을 상정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그러나 그럴 경우에도 상징적인 의미일 뿐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경주 회의는 23일 오전 '강하고 지속가능한 균형성장을 위한 협력 체계' 세션에서 각국 정책 대안을 논의하게 된다.
이번 경주 장관회의의 결과를 토대로 환율 문제에 대한 추가 중재 과정을 거쳐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금융안전망 등을 포괄하는 '코리아 이니셔티브'와 함께 환율 등 글로벌 불균형을 해소하는 '서울 선언'을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결국 환율 문제는 양자 간에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면서 "G20 체제는 글로벌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자국 이기주의에 입각한 환율 정책을 버려야 한다는 분위기를 조성한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