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물가 20개월만에 4% 상승, 신선식품 49.4% 급등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정부의 물가관리에 적신호가 켜졌다. 10월 소비자물가가 20개월 만에 4%대로 치솟아 3% 내외가 되리라던 연중 목표치 달성조차 낙관하기 어렵게 됐다.
특히 물가불안을 잠재우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지연될 경우 자산버블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커 한국 경제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10월 배추, 무, 양배추 등 신선식품지수는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0년대 이후 최대치인 49.4% 급등해 역대 최고 상승률을 한달 만에 갈아치웠다.
이 지수는 4월부터 10% 안팎의 불안한 흐름을 보이다가 8월 20.0%, 9월 45.5%, 10월 49.4% 등 가파른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신선식품지수 가운데 채소가 100.7% 올라 상승률이 가장 높았고, 과실(26.6%)과 어개(수산물ㆍ10.4% )도 많이 올랐다.
특히 김치 재료인 무(275.7%)와 배추(261.5%), 파(145.5%), 마늘(102.5%) 등은 모두 세자릿수의 상승률을 기록해 '김치 대란'이 이어졌다.
양배추 상승률은 286.2%로 1위를 기록해 '양배추 김치'를 담그기도 부담스러운 상황이 됐다. 채소 가운데 버섯(-1.5%)만 빼고 모두 올랐다. 채소값이 급등하자 돼지갈비 외식비도 5.2% 오르는 등 외식비도 덩달아 뛰었다.
이처럼 서민들의 '밥상물가'가 치솟자 재정부는 뒤늦게 물가관리의 허점을 인정하고 부랴부랴 물가안정대책 마련에 나섰다.
강호인 재정부 차관보는 이날 기자 브리핑에서 "배추의 생육관리를 수시로 현장감 있게 조사해야 했는데 다소 안이한 상황인식이 있었다"며 "연초부터 이상저온과 폭염 등에 대비했으나 공급이 급격히 감소한 것에 대한 대응에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정부는 마늘은 1만9000t을 이달 말까지 깐마늘 형태로 집중적으로 방출하고, 무는 지난달 긴급 수입한 80t을 이달 초에 판매한다고 이날 발표했다. 말린 고추와 양파는 시장접근물량 잔량을 이달 말까지 도입해 방출하고 필요 시 올해 의무수입물량을 추가로 늘릴 방침이다.
배추는 평년 수준(2555원)으로 가격을 안정시키되 시나리오별 대응계획도 세웠다. 우선 기상악화로 값이 오르면 수입물량 확대와 월동배추 조기 출하, 수입처 사전 확보, 물량 저장 등에 나서기로 했다.
반면 가격이 급락하면 계약재배 물량의 출하시기를 탄력적으로 조절하고 김치업체의 월동배추 구입ㆍ저장을 유도하기로 했다. 도시가스요금은 1일부터 평균 4.9% 내리고, 지역난방비는 내년 1월까지 요금을 동결하기로 했다.
그러나 정부의 물가안정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가중치가 큰 집세가 오름세를 타고 있고 농축수산물도 평년보다 높은 수준이어서 물가불안 심리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런 가운데 물가관리를 최우선 목표로 내세워야 하는 통화당국이 불확실한 대외변수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 인상시기를 놓친 점도 소비자물가를 급등하게 만든 점으로 꼽히고 있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정부와 한은이 경제성장률에만 초점을 맞춰 기업구조조정 지연은 물론, 서민들의 밥상물가 관리에는 나몰라라 했던 측면이 있다"며 "지금이라도 기준금리를 올려 자산버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shkim@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