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외규장각 반환 실무협의 본격 실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0-11-21 07: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프랑스에서 외규장각 도서의 사실상 한국 반환 결정에 대한 반발 움직임이 나타난 가운데 이 도서를 한국으로 옮기기 위한 후속 실무 협의가 이번주부터 본격 시작된다.

21일 주불한국대사관(대사 박흥신)에 따르면 양국은 두 정상간 합의 이후 반환 이행을 위한 자국 내 관련부처간 협의를 조속히 마무리한 뒤 이번주 중반께부터 296권의 외규장각 도서를 한국으로 이송하기 위한 실무자간 협의를 개시할 방침이다.

대사관 관계자는 "당초 지난주부터 후속 실무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양국의 관련부처간 협의가 다소 길어지고 있다"면서 "가급적 조속한 시일내에 양국 실무자간 협의를 진행해 양국 협상대표간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도서를 소장하고 있는 파리국립도서관(BNF)측과 국립중앙박물관측간 협의는 BNF의 반발 가능성을 고려, 도서 이전 시 필요한 구체적인 사항과 이전 후 보관 문제 등 기술적인 부분만 다루도록 할 방침이라고 이 관계자는 말했다.

이 관계자는 BNF 사서들의 반발 움직임과 관련, "이미 예상했던 것으로, 반대성명 서명자 명단을 보면 BNF의 관장이나 부관장 등 지도부는 없고 전문직 실무직원들만 들어가 있다"며 "양국 정상간 합의가 이뤄지기 전에 프랑스 관련부처간 협의에서 충분한 법적 검토가 이뤄졌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익명을 요구한 한 프랑스측 인사는 "1993년 프랑수아 미테랑 당시 대통령이 의궤 1권을 한국측에 전달한 이후 BNF 직원들이 파업을 벌이면서까지 반발한 것은 미테랑 대통령이 그들을 속이고 프랑스 법을 어겼기 때문"이라며 "모든 것이 합법적으로 이뤄진 지금의 상황은 1993년 당시와는 전혀 다르다"고 강조했다.

대사관의 다른 관계자는 "양국 후속협상 외에 한국에서 외규장각 도서를 받을 준비를 조속히 해나가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BNF처럼 최적의 환경에서 의궤를 보관하고 연구자들이 열람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려면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양국간 실무협의가 조속히 진행돼도 도서들을 받을 기술적인 준비가 이뤄지지 않으면 BNF 사서들이 반대할 빌미를 제공할 수 있는 만큼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