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오는 12월 열리는 중국 중앙 경제공작회의에서 기존의 느슨한 통화 정책 기조와는 달리 물가를 안정시키고 통화를 긴축하는 등 새로운 방향의 거시 경제 대책이 쏟아져 나올 것으로 알려져 관심이 집중된다.
전문가들은 지난 수년 간 중국이 느슨한 통화정책을 유지해 왔지만 최근 미국의 추가 양적완화 조치로 전 세계 시장에 풀린 돈이 중국에 집중 유입되고 있는 데다가 국내적으로도 자산거품이나 인플레이션 급등에 직면하면서 거시경제 정책 방향을 선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이번 중앙 경제공작회의에서는 기존의 적당히 느슨한 통화정책에서 벗어나 인플레 억제에 최대 주안점을 두며 긴축 통화정책으로 이행하는 경제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최근 중국 정부는 물가 잡기에 총력을 가하고 있는 형국이다. 중국 국무원은 물량공급 확대와 시장감독 강화, 시장가격 직접 통제, 보조금 지급 등 물가관리를 위한 비상조치에 돌입했다. 중국 중앙은행은 물가억제 및 자산거품 방지를 위해 이번 달 들어 벌써 두 번째 지급준비율을 인상했다.
또한 사실상 중국 거시정책 방향이 느슨한 통화정책에서 긴축 통화정책 기조로 돌아선 만큼 이번 회의에서 연내 추가 금리 인상 여부도 결정하지 않겠냐는 의견도 제기됐다.
다만 내수 중심의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구조조정 전환 작업을 가속화하기 위해 중국이 그 동안 시행해 왔던 적극적인 재정정책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긴축 통화정책과 재정 확대정책을 어떻게 조화롭게 실행해 나갈 것인지가 이번 중앙 경제공작회의의 최대 이슈로 보인다.
중앙 경제공작회의는 중국 최대의 경제회의로 지난 2007년부터 매년 12월 초에 한 번씩 열려왔다. 중국 정부는 통상 이에 앞선 11월 말 열린 중앙정치국 회의에서 대다수 경제정책의 방향을 명확히 한 뒤에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열어 내년 중국의 전반적인 거시정책을 확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aeinsun@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