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경영연구소, "주택 수요 2015년까지 증가"

(아주경제 이재호 기자)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오는 2015년까지 국내 주택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9일 발표한 ‘인구변화에 따른 주택시장의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2015년까지 국내 주택시장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요 주택자산 보유 연령대인 40~59세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데다, 주택 보유 비율 및 가격이 높은 50~69세 인구가 20~39세 인구 감소분의 2배를 웃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미국과 일본의 경우도 40~59세 인구 비중이 증가하면서 주택가격이 동반 상승했다가 해당 연령대 인구 비중의 감소 시점과 매우 유사하게 주택가격이 장기 침체를 시작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서울의 1인 가구 비중은 23.8%로 2005년 대비 3.4%포인트 상승했지만, 일본 도쿄도의 2005년 1인 가구 비중이 42.5%였던 점을 감안하면 1~2인 가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소형 주택 관련 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2015년 이후에는 주택 수요 감소 가능성이 높아져 주택 시장도 위축될 수 있다.

보고서는 “2015년 대비 2020년의 경우 수도권을 포함해 30~49세 인구 감소율이 높아지고 고가 주택 보유층인 50대 인구 증가율도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40~59세 인구도 감소세로 전환돼 주택 시장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국내 전체 인구는 2019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핵심생산가능인구(25~49세)는 이미 2008년부터 감소하고 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7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