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방공무원 징계율 6년來 최고

(아주경제 박재홍 기자)금품수수나 공금 횡령 등의 부정행위로 파면이나 징계를 받은 지방공무원의 비율이 지난 6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27만9300명 가운데 1.05%인 2960명이 징계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1.03%이후 최근 6년 간 가장 높은 수치다.
 
 연도별로는 2004년 1.1%, 2005년 0.9%, 2006년 0.5%, 2007년 0.6%, 2009년에는 0.94%였다.
 
 징계 유형별로는 파면이 50명, 해임이 49명이었고, 강등 15명, 정직 430명, 감봉 787명, 견책 1629명 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시에서 파면 17명 등 226명이 징계를 받았고 부산이 106명, 대구 110명, 인천 104명, 광주 79명, 대전 48명, 울산 37명, 경기 558명, 강원 159명, 충북 108명, 충남 291명, 전북 223명, 전남 234명, 경북 340명, 경남 263명, 제주 74명이 징계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뇌물 주고받기로 징계를 받은 공무원은 205명이었고 공금횡령 3명, 공금유용 109명, 공문서 위변조가 44명, 직무유기 및 태만이 255명, 직권남용이 15명, 복무규정 위배가 193명, 품위손상이 1951명 이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민주노동당에 가입해 불법 정치활동을 한 지방 공무원을 징계토록 지난해 각 지자체에 요구했지만 절차 등을 밟는데 시간이 걸려 작년 징계통계에는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