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 중문판은 중국 정부가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궈은행의 해외 조달 자금 105억 위안(한화 약 1조 7565억원)의 국내 반입을 비준했다고 9일 보도했다.
작년부터 은행, 부동산업체, 제조업체 등 국내외 다수 기업들은 급성장하는 홍콩시장에서 이른바 ‘딤섬본드(국제금융시장에서 발행되는 위안화 표시 채권)’를 발행해 왔다. 위안화의 국제화를 도모하고 있는 중국 정부 또한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이 같은 딤섬본드 발행을 장려했고 현재 홍콩에서 발행된 딤섬본드 규모는 약 125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중국 정부는 그간 홍콩을 중심으로 한 역외 위안화 거래 시장 형성을 추진하면서도 투기 자본 유입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딤섬본드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의 본토 반입에 엄격한 잣대를 적용해 왔다.
HSBC의 금융 전략가 류제(劉潔)는 “중국 정부는 핫머니의 유입을 걱정하지만 조달 자금 국내 반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며 “자금 반입 허가가 역외 위안화 시장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HSBC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달 중궈은행, 중궈젠서은행(中國建設銀行), 자오상은행(招商銀行) 등 중국은행 홍콩 지점이 양도성예금증서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160억위안에 달하며 이 중 중궈은행의 발행규모는 80억위안으로 은행 중 최대규모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