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에 따르면 내달 1일 국방정보본부 주요 직위자와 미 군사지리정보국(NGA), 한국지구관측센터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지형정보단'을 창설한다.
국방지형정보단은 육군 직할부대인 육군지형정보단을 모체로 해ㆍ공군과 해병대 전문 인력이 참여한 국방정보본부 예하 국방부 직할부대로 확대한다. 이 부대는 1실3처 1개과 156명으로 편성돼 있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국방부는 이어 따라 지형정보와 영상정보를 융합해 지리공간(영상)정보(GEOINT)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합동작전에 필요한 지형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국내외 국방 지형정보 협력과 지형정보 연구개발 등의 업무를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국방지형정보단 관계자는 “환경변화에 따라 우리 군의 지형정보는 군사지도에서 첨단 디지털지형 정보로, 단순지형에서 영상과 지형ㆍ속성의 통합으로, 육군 위주에서 전군 동시지원으로 변화와 발전에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리영상정보에 필요한 위성정보는 국외에서 구매하는 0.5m급 상용위성 지도, 1m급 아리랑 위성 영상을 비롯한 협력관계를 맺은 미국의 NGA로부터 받는 위성사진(기밀자료 제외) 등을 사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한의 주요 전략시설과 지형에 대해서는 위성촬영 사진을 통해 3차원 영상으로 구현하게 된다.
국방지형정보단은 미국의 정찰위성과 중앙정보국(CIA)이 관리하는 첩보정찰기 등이 수집한 각종 지리영상정보를 취합해 정보를 생산하는 국가정보기관, NGA를 모델로 하고 있다.
창설부대장 공민수 단장(육군대령)은 "지리공간 정보 기반자료 구축 등 부대에 부여된 임무 완수와 선진 지형정보 업무의 미래를 준비하는데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