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입장변화는 재원 부담 등 실현 가능성이 가장 큰 이유지만, 당 안팎에선 표심을 의식해 숙성되지 않은 정책을 급조했다는 비판도 적잖게 제기되고 있다.
13일 민주당 보편적복지 기획단' 등에 따르면 국공립대의 경우 내년부터 등록금을 50% 인하하되, 사립대의 경우 내년 30%, 2013년 40%, 2014년 50% 등 단계적으로 낮추는 방안을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소요재원은 기획단 추산 기준으로, 2014년까지 약 10조∼12조원이다. 이는 국공립대와 사립대 동시 시행시 3년간 투입되는 17조3550억원(연간 5조7850억원)에 비해 5조∼7조원 가량 적은 수준.
민주당은 당초 소득 하위 50% 계층에 차등지원하는 방안에 초점을 뒀지만, 손학규 대표가 대학생 촛불집회에 다녀온 직후인 지난달 7일 수혜 대상을 중산층까지 넓히는 반값 등록금 전면시행 방침을 발표했다.
이후 9일 '국공립대 내년 전면 시행-사립대 단계 시행', 12일 '국공립대-사립대 동시 시행' 방침을 잇따라 쏟아내며 정책 수위를 높여왔다.
이 과정에서 의원총회를 거치면서 반값 등록금의 기준을 '고지서 금액'에서 실부담가로 조정키로 하는 등 한발 후퇴하기도 했다.
때문에 반값 등록금 정책을 둘러싼 당내 혼선과 비판도 일부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세부 방안을 놓고 당내에 이런저런 의견이 있지만 현재로선 '국공립대-사립대 동시 시행'이라는 당론에 변함이 없다"고 지적했고, 한 당 지방의원은 "균형발전 차원에서 국공립대 가운데서도 지방대부터 먼저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