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카드 조기도입으로 복제방지 나선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19 10:2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방영덕 기자) 금융당국이 복제가 어려운 집적회로(IC) 카드와 관련 자동화기기 전면 도입을 최대한 앞당길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전국 2만1000개에 달하는 결제대행업체(VAN 사업자)의 자동입출금기(ATM)의 실태를 점검, VAN 사업자의 ATM에 IC 카드 인식 장치를 설치하는 시기를 앞당기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19일 밝혔다.
 
현재 은행권 ATM 3만여개는 99.6%가 IC 카드 인식이 가능하지만 편의점이나 지하철역 등에 설치된 VAN 사업자의 ATM은 여전히 마그네틱띠(MS) 카드를 인식하는 기기가 많기 때문이다.

권혁세 금감원장도 최근 금융권의 IC 카드 전면도입 시기를 애초 예정했던 내년 9월보다 앞당기도록 지시했다. 그 사이 MS 카드에 금융정보가 담긴 소비자가 범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라는 뜻에서다. 
   
금감원이 IC 카드 도입을 서두르는 이유는 복제 사고를 막기 위해서다. IC 카드는 내장 반도체에 금융정보가 기록돼 복제가 매우 어려운 반면 MS 카드는 비교적 손쉽게 복제할 수 있다.

다만, 최근 부산에서 발생한 복제카드 불법인출 사건은 일부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은행 ATM에서 카드가 복제된 게 아니라 특정 유흥업소를 이용한 고객 13명이 종업원에게 현금인출을 부탁하면서 비밀번호를 알려주는 바람에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현재 은행 ATM은 대부분 복제방지 장치가 설치돼 카드 불법복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IC 카드가 전면 도입될 때까지 MS 카드 소지자가 스스로 주의하는 게 최선의 피해 예방책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은행도 올해 하반기 중 은행권의 IC 카드 발급 실태를 일제히 점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