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상반기에는 국제유가 및 원자재·농수산물 가격 등 '공급측 불안요인'이, 하반기에는 외식비 등 개인서비스와 가공식품 가격 등 '수요측 불안요인'이 물가상승 주범으로 마치 공식처럼 거론됐다.
하지만 끊임없이 이어지는 집중폭우로 상반기 물가상승을 주도한 공급측 요인이 또다시 고개를 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상반기와는 달리 하반기에는 공급·수요측 요인뿐만 아니라 '비 피해'와 공공요금 인상 등 불안요소가 다각적으로 작용하면서 정부가 전방위적인 관점에서 물가를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물론 공급측면의 물가불안은 정부 입장에서 컨트롤 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당시 국제유가는 중동정세 불안 등 대외상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농수산물 가격은 구제역과 이상기후(한파) 여파로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 3월 들어 구제역은 사라지고 기온이 오르면서 농축수산물과 관련된 공급측 요인은 사라지는 듯했다. 재배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생산량도 평균 수준을 되찾았다. 가격도 안정되는 듯했다.
그러나 장마가 예년보다 10여일가량 이른 지난 6월 상순부터 시작되면서 과일과 신선채소류가 타격을 입기 시작했다. 생산량은 줄고 당도나 신선도는 떨어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번엔 예상치 못한 폭우까지 이어지면서 농산물 작황은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생산량 감소와 수급불안은 가격상승으로 이어졌고, 이는 바로 주부들의 장바구니 물가를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전문가들은 장바구니 물가가 서민 물가 체감도를 결정하는 주요 품목인 만큼, 정부가 농수산물 물가 관리에 뚜렷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더 나아가 폭우나 냉해와 같은 급작스런 이상기후가 잦아지면서 장기적인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영일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서민경제에 물가상승이 주는 부담을 고려해볼 때 가격변동폭이 큰 물품에 대해서는 재고관리 등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