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허위 장애진단서가 병역 면제와 취업에 이용된 정황이 확인된 것으로 전해지면서 수사 결과에 따라 상당한 사회적 파장이 예상된다.
31일 광주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서울 모 신경외과에서 2009~2010년 허위 장애진단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1천400여 명 가운데 120명이 조사를 받았고, 이 중 90% 이상이 가짜 장애인으로 판명됐다.
이들 대부분은 LPG 차량 구입, 통신요금, 차량 등록세와 취득세,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등 장애인에게 부여된 각종 혜택을 노리고 허위 장애진단서를 발급받았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또 허위 장애진단으로 병역을 피하려 한 정황을 포착하고 이를 병무청에 확인, 재검 대상자를 선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허위 장애진단서를 공무원 취업과 아파트 특별 분양 혜택에 이용한 사람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경찰은 운동하는 데 전혀 지장이 없는 현역 레슬링 선수와 코치 5~6명이 허위로 장애인 진단서를 발급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경찰은 수사 대상자가 방대함에 따라 허위 장애진단 의뢰자를 출신 지역별로 나눠 광주지역 5개 경찰서와 지방청 광역수사대에서 수사하도록 할 방침이다.
경찰은 허위 장애진단 의뢰자로부터 돈을 받고 병원을 소개해 준 브로커와 장애진단서를 작성해 준 의사에 대한 조사를 마치는 대로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광주경찰청 한 관계자는 “증거 자료 확인, 기관 협조, 대질 조사 등을 통한 혐의 사실 입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