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측만증 2명 중 1명 10대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척추가 굽거나 휘는 척추측만증이 1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척추측만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06년 10만3000명에서 2010년 11만6000명으로 5년간 12.2%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연평균 증가율은 3.0%였다.

척추측만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가 쓴 총진료비는 2006년 109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54억원으로 45억원, 40.3% 가량 늘었다.

척추측만증은 10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여성의 비율도 높았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전체 환자 중 10대가 46.5%에 달했다.

2006년 대비 2010년의 연령별 증가율에서도 10대가 21.1%로 전연령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지난해를 기준으로 남성이 4만1551명, 여성이 7만5074명으로 여성이 약 2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측만증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사망률이 2배 이상 높아진다.

요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노동 능력이나 일상생활 적응 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척추측만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이 없으며 조기 발견이 가장 중요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