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자신만의 복지 정책 방향과 고용 중심의 자립형 복지를 제시한 박 전 대표는 이번에는 과학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서강대 전자공학과 출신이기도 하다.
박 전 대표가 지금까지 사회적 고용복지 모델을 중심으로 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면 이번에는 과학기술 분야를 기반으로 한 경제성장에 초점을 맞춘 것.
이는 4대강 개발 등 토목공사를 통한 국가 경제 발전을 도모한 이명박 정부와 차별화를 두는 동시에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의력 중심의 경제 발전 방안을 견제하는 효과도 노린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전 대표는 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과학기술의 융합과 산업화를 통한 창의국가’ 세미나를 열고 과학기술의 발전이 곧 고용과 경제발전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박 전 대표는 “국정운영이 과학기술 중심이 돼야 한다”며 “이공계 출신의 공직 진출을 확대하고 기업들이 이공계 출신을 더 많이 채용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과학기술이 새 수요, 새 시장, 새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우리 경제의 파이를 키워야 할 것”이라며 “지금 가장 시급한 것은 일자리다. 노동집약적 일자리는 점차 줄어들고 있어 선진국처럼 지식기반의 창조적 일자리를 많이 창출해야 한다”고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고용증대를 이룰 수 있음을 거듭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이 같은 박 전 대표의 방안을 위한 구체적 정책 방향도 제시됐다.
이공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교수는 ‘과학기술혁신 기본법’을 제정해 과학기술의 혁신과 산업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과학기술정책과 경제정책, 산업정책의 유기적인 융합을 강화해야 한다”며 “여러 부처에 흩어져 추진되는 과학기술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과학기술정책을 상호 협력해 추진하도록 과학기술정책의 전담 부처를 갖춰 국가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영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과 교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정년을 개선하고 유망 중소기업 취업 인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숙련기능인에 대한 우대가 필요하다”며 “이공계 융합인재의 공직 진출을 확대하고, 채용시험 과목에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을 균형있게 다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전 대표의 대변인 격인 이정현 의원은 “고용복지를 통한 분배와 함께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성장을 통해 경제발전을 도모하는 투트랙 개념”이라며 “두 부문이 박 전 대표가 국정운용의 우선 순위로 고려하고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