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비대위'가 처음 꾸려진 지난 27일, 이 비대위원은 언론을 통해 "트위터에서 ‘강용석 의원과 쌍두마차’라는 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다음날에도 트위터 상에서 "오늘도 트위터에서 ”강용석 의원과 쌍두마차가 되어라“는 덕담에 꼭지가 돕니다;;"라며 불쾌함을 드러냈다.
이에 강 의원은 다음날 트위터에서 "나이와 학력, 경력, 군대가 잘 안 맞는 것 같다. 고교 2년 때 카이스트에 진학하고 3학년 때 하버드대 4학년으로 편입해 1년 만에 졸업해야 2007년 11월에 공익요원이 가능”이라며 “거의 타블로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두 사람은 결국 29일 새벽까지 1대 1로 혹은 다른 트위터리안들에게 답하는 형식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설전을 주고받았다.
이 위원은 강 의원을 향해 “저한테 좀 직접 말씀하세요”라고 지적하는가 하면 “같은 편인 척은 안하셨으면 좋겠고, 산업기능요원은 근무시간 외에 비영리 활동을 할 수 있는 게 맞습니다. (군복무한 회사인) 이노티브 경영진과 인척관계나 입사 전에 아는 관계 없습니다”며 강 의원이 제기한 병역 의혹을 반박했다.
강 의원 역시 “질문에 답변하는 태도가 영 거슬리는데. 내가 맘먹고 검증하려 하면 전부 확인 가능. 자네를 생각해서 적당히 답변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을 명심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편 이 위원은 2004년 친박(박근혜)계 유승민 의원실 인턴으로 일한 경험을 두고 “친유승민계(?)로서 공천권 행사에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치 않냐”는 트위터리안의 질문에 “공천 기준 제정과 공천 심사 자체에 관심이 별로 없어서...저는 소분과로는 정책위원회, 소통위원회 소속이거든요. 걱정하지 마세요”라고 답을 남겼다.
또한 그가 수개월 전 “전철연(전국철거민연합)이 진짜 미친놈들이 아닌가 싶다”는 트윗을 올렸다는 이야기가 퍼지며 뒤늦게 논란거리가 되자 “층간소음에 대응하는 소시민의 짜증트윗 정도로 이해해주시면 됩니다. 철거민이 아니라 전철연얘기...”라고 해명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