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시가 대중교통요금 인상을 단행한 것처럼 '단독 플레이'가 재발되지 않도록 당근책을 제시한 것이다.
박 장관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정부는 물가안정을 유도하기 위해 지방 공공요금을 안정적으로 관리한 우수 지자체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16개 광역시·도의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최소 2.9%에서 최대 3.9%로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또 서울시의 공공요금 인상이 다른 지자체에 영향을 줘 공공요금 도미노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를 사전에 막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올해 공공요금을 동결하거나 인상폭을 축소, 또는 인상시기를 분산한 지자체에 지원하는 예산규모를 250억원에서 300억원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때 추가되는 50억원은 행정안전부의 특별교부세다.
또 연말 지방물가 안정관리 평가 시 지방 공공요금의 추진실적 비중을 현행 40%에서 50%로 확대했다.
아울러 박 장관은 "최근 대학가의 신학기 수요로 주택시장이 다소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대학생이 전세임대주택을 더 쉽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박 장관은 "학교와의 거리에 따른 부담 차등화를 검토해달라"며 "대학가 노후하숙 개량과 기숙사 건설자금 지원 등 지난 12·7대책에 포함된 방안을 차질없이 추진해달라"고 덧붙였다.
최근의 유가 상승 및 이상한파에 대한 대응도 당부했다.
박 장관은 "유가 상승과 한파로 인한 농작물 생산 감소가 물가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농림수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철저한 모니터링과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