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인천항여객터미널에 따르면 2011년 한 해 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한 전체 104만3230명 중 여행목적의 순수 여행객은 55.4%(57만8428명), 소무역상인이 44.6%(46만4802명)를 기록했다.
국적은 중국 국적이 63.2%(66만568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한국 34.3%(35만7천358명), 대만 2.2%(2만2천665명), 기타 0.3%(2천639명) 순으로 집계됐다.
또 출국객(51%)이 입국객(49%)보다 많았고, 남성(60.1%)이 여성(39.9%) 보다 많았다.
항로는 인천-웨이하이(威海) 14.2%, 스다오항(석도) 13.9%, 단둥 12.6% 순이며 인천-잉커우(營口) 항로는 4.8%로 가장 적었다.
여행객 수가 많은 항로는 텐진(83.7%)과 단둥(79.6%), 다롄(77.3%)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인의 경우는 진황도(76.3%)와 스다오항(66.7%), 연운항(66.5%)을 주로 이용했다.
인천항여객터미널 관계자는 “경기침체 등의 악재에도 여행객이 증가한 주 요인은 한류영향 등으로 한국을 찾은 중국 관광객이 늘었기 때문”이라며 “일본 원전사태도 중국 관광객이 일본보다 한국을 선호한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