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은 2일 보아오포럼의 개막에 앞서 중국 정관계 인사를 비롯해 기업인·학자 등을 초청해 '사회적 기업의 이해 - 이슈와 도전'을 주제로 조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조찬회에는 리션밍 중국 사회과학원 부원장·롱용투 중국 국무원 상무부 전 부부장·장야페이 화웨이그룹 부사장 등 중국의 각계 오피니언 리더를 포함해 모두 40여명이 참석했다.
최 회장은 모두 발언에서 "급속한 경제성장에 수반되는 사회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사회구조와 경제발전 경로 등이 한국과 유사한 중국에서도 SK식 사회적 기업 모델이 매우 유용할 것"이라며 "중국 내 SK의 파트너 기업들이 필요로 한다면 SK의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첸잉(陈英) UN글로벌 컴팩트 네트워크 이사는 "SK 사례는 사회적 기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중국의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SK는 이번 발표회에 대해 사회적 기업을 통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이익이 사회에 환원되는 SK식 '행복 플랫폼'이 국내를 넘어 글로벌 무대에서도 인정을 받고, 그 외연을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SK는 지난달 연 매출 1300억원대로 국내 최대 규모의 사회적기업인 '행복나래'(옛 MRO코리아)를 출범시키는 등 그동안 사회적 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왔다.
특히, 최태원 회장은 "MRO 사업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자"고 제안해 행복나래 출범의 단초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상생 발전을 위한 그룹 차원의 사회적 기업 지원 육성을 전폭적으로 지원해왔다.
이만우 SK그룹 홍보담당 전무는 "SK식 사회적 기업 육성 전략은 사회문제에 대한 그룹 최고 경영진의 진지한 고민이 반영된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하고 의미 있는 시도가 계속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