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6일 서울 여의도 금융위원회에서 ‘제1차 서민금융협의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정해 은행에 전달했다.
추경호 금융위 부위원장은 “서민금융이 실제로 이뤄지는 현장을 점검해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며 배경을 설명했다.
추 부위원장은 “그동안 금융회사들이 서민금융에 대해 시혜적 관점을 접근해 사회공헌차원의 자금지원으로 인식해 왔다”면서 “그러나 서민대상 금융서비스 제공은 금융회사 본연의 핵심업무이자 사회적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청년·대학생 고금리 전환대출 △긴급소액자금대출(미소금융중앙재단) △전통시장 상인대상 소액대출 확대 △미소금융과 지역사회간 유대 강화 △미소금융 차량대출 집중소해방안 △서민금융 종합 지원센터 확산 △은행창구를 통한 서민금융홍보 강화 등에 대해서도 논의됐다.
금융위는 전국적인 지점망을 갖춘 은행이 창구에서 서민금융 홍보를 강화하도록 할 예정이다.
은행 창구 직원에 대한 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대출을 신청한 고객에 대해서도 대출이 승인되지 않은 경우 자산관리공사의 ‘새희망 네트워크’, 한국이지론 등 서민금융 종합안내 사이트로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개편하기로 했다.
특히 내달 출시되는 미소금융 긴급 소액자금 대출과 6월 중순 출시할 예정인 청년·대학생 고금리 전환대출을 위한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하도록 했다. 올해 600개 전통시장에 7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전통시장 상인 대상 소액대출도 4월부터 미소금융 지점과 전통시장 상인회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확산시키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