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비공개 부분 브리핑에서 “중국 공안당국이 구금 중인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 씨를 조속히 석방하라는 당의 입장을 중국대사관측에 전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유기준 최고위원은 “정부도 중국대사를 불러 김 씨의 구금 상태를 빨리 해소하라는 요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고 심재철 최고위원도 “정부는 김 씨의 조속하고 안전한 국내 복귀를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김 씨는 1980년대 대학가 주체사상의 교범이었던 ‘강철서신’의 작가로 주사파 운동권의 핵심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북한주민의 인권과 민주주의 개선을 위한 북한 인권 운동가로 변신한 인물이다.
김 씨 등 한국인 4명은 지난 3월29일 다롄(大連)에서 탈북자 관련 회의를 하다가 체포됐으며, 현재 중국과 북한의 접경 지역인 단둥(丹東)의 구금시설에 갇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