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가 국가경쟁력> 한전, "고강도 자구책 마련…해외사업 고삐"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한국전력공사(사장 김중겸)는 최근 정부에 제출한 전기요금 인상안과 관련해 고강도의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최근 논란이 된 자회사에 대한 70% 배당금 요구와 발전회사에 대한 보정계수(수익조정) 조정 요구도 발전자회사와 관련회사를 포함한 전력업계가 고통분담 차원에서 전기요금 인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우선 한전은 올해 1조1000억원 이상의 원가절감 활동을 전개하고 불합리한 전력거래시스템 개선을 통해 전기요금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 흡수하도록 할 계획이다.

기존의 비상대응계획을 2단계에서 3단계 수준으로 상향 조정해 자금지출을 최소화했으며 엔지니어링, 조달, 시공운영 등 업무단계별로 원가절감 요인을
발굴했다. 또 발전자회사의 터빈설비 성능개선을 통한 열효율 향상, 자재비 절감 등을 통해 약 2.3% 수준의 요금 인상 요인을 자체 흡수하기로 했다.

잦은 발전기 고장과 관련해 발전사 책임으로 인한 구입전력비가 증가할 경우 패널티도 부과할 계획이다.

한전은 해외 사업에도 다시 한번 고삐를 죄고 있다. 한전은 눈덩이 부채와 신용등급 하락 등으로 '2020년 해외사업 비중 20% 달성'이라는 청사진에 차질이 예상되면서 올해 자원개발 기업 인수합병(M&A) 혹은 지분 인수를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한전 관계자는 “직접 운영을 통해 안정적인 이익을 낼 수 있는 업체들이 인수 대상”이라고 말했다.

또 해외 발전사업 비중을 더 높이고 원가 절감을 위해 한동안 폐지했던 지역전문가 과정도 부활시킬 계획이다. 한전은 최근 현재 3%대인 해외사업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해외지사망을 확충하고 조직을 개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