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민주통합당을 비롯한 야당이 반대할 경우, 단독 소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야당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또 다음달 11일로 임기가 시작되는 신임 대법관 후보자 4명의 임명동의안 처리가 제때 이뤄지지 못할 경우, 대법관 공석사태로 재판기능에 차질을 빚게 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 관계자는 “일단 민주통합당에 원 포인트 국회를 제안하되,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단독으로 본회의를 소집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19대 개원국회의 첫 본회의를 단독소집하는데 따르는 부담 때문에 여론을 살피는 중”이라고 말했다.
김기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석 중인 대법관 인사청문회 등의 일정을 감안해 “원 포인트 국회라도 당장 열 것을 거대 야당인 민주당에 다시 호소드린다”고 밝혔다.
심재철 최고위원도 “목요일까지는 우리당 단독으로라도 국회의장과 부의장을 선출한 다음 4일 본회의에서 원포인트 국회를 열어 대법원 공백사태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대법관의 임기개시일 하루 전인 다음달 10일까지 임명동의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27일까지는 ‘원 포인트 본회의’에서 의장단 구성이 완료해야 되는 상태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2대 국회 후반과 13대 국회 후반기 때 여당 단독의 원 포인트 국회가 소집돼 각각 민정당 출신 이재형 국회의장과, 민자당 소속 박준규 국회의장이 선출된 전례가 있다”면서 “그 방안의 원용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의장단 선출은 재적과반 찬성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새누리당 150석과, 여당 성향의 무소속 5명, 자유선진당 4명의 ‘표 단속’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는다면 선출은 무난하다는 것이 새누리당의 판단이다. 의장단 선출이 실시되면 임시의장은 국회 최다선인 7선의 정몽준 의원이 맡게 된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는 “압박용이고 정치적인 꼼수”라며 “실제 단독개의를 강행한다면 다음 수순은 상임위원장 독식일텐데 이는 결국 박근혜 정신인 유신정신으로 돌아가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우원식 원내대변인도 “국회를 파행으로 이끌어 국회를 정상화시키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야당을 자극하고 정상화시키지 않아 대선 때까지 이명박 정권의 실정이나 문제들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려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