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대선 주자 중 ‘다크호스’로 평가 받는 김 지사는 8일 해남 땅끝마을에서 대선 출정식을 갖고 “재벌과 특권의 독식경제를 끝내고 나눔경제를 실천해야한다. 경제의 초점을 중산층과 중소기업, 서민과 소상공인, 지방과 소외된 지역에 두고 살려야 한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지금의 경제구조로는 더 이상 지속가능한 성장이 불가능하며, 구조화된 불평등체제에서는 더 이상의 발전도, 삶의 개선도 있을 수 없다”며 “공공성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국가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평등하게 잘 사는 나라가 선진국이며, 계층이동이 가능한 사회가 건강한 사회다. 신자유주의를 극복하고 평등국가를 실현해 평등이 새로운 발전의 동력이 되는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평소 좌우명으로 삼고 있다는 ‘불환빈 환불균(不患貧 患不均, 백성들은 가난함보다는 불평등 한 것에 분노한다)’이란 논어 구절을 인용하며 "경제민주화와 보편적 복지는 제 정치적 유전자로 자리잡았다. 경제민주화와 보편적 복지는 저의 정치혈맥이자 정치근육”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대선 공약으로는 △서민·중산층 생계비 경감 △반값등록금 실현 및 고등교육 전면 무상화 △노후보장 강화 △지방 분권화 △한반도경제공동체 △지속가능한 국가체제 구축 등을 제시했다.
그는 “국가는 극소수 기득권자를 위한 ‘요새’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집’이 돼야 한다"며 "IMF 외환위기 직후 일자리를 잃은 수많은 사람들이 산으로 출근했는데, 산은 국가보다 따뜻하게 가장들을 맞아줬다. 이제 산보다 더 포근한 정부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패자에게 기회를 주는 사회로는 부족하다. 영원한 패자는 없는 나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너를 이겨야 내가 사는 ‘정글의 법칙’을 버리고 네가 살아야 나도 살 수 있는 ‘숲의 법칙’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본인의 후보 경쟁력에 대해선 "재벌의 횡포와 관료의 장막을 돌파할 용기와 지혜, 역량을 갖췄으며 20세기에 21세기의 가치를
이미 온몸으로 실천한'검증된 미래'"라며 "대화와 타협을 통한 민주적인 국정운영의 전통을 확립하겠다. 섬김의 정치, 섬김의 정부,
국민 아래 김두관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