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일표 원내대변인은 여의도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12월 대선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검토했다”며 “‘당대 당’ 쟁점 이슈가 많이 제기될 것으로 보이는 정무위나 문방위에 전문성과 철학 등을 많이 고려해 배치했다”고 밝혔다.
저축은행 사태가 쟁점인 정무위에는 유력 대권주자인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의 ‘정책브레인’으로 꼽히는 강석훈 의원, 금융감독위 상임위원과 예금보험공사 사장을 지냈던 박대동 의원을 배치해 전문성에 무게를 뒀다.
아울러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협상에서 끈질긴 협상력을 보여 ‘검투사’라는 별명을 얻었던 김종훈 의원으로 전투력을 보강했다.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에는 언론인 출신인 박대출(서울신문)·홍지만(SBS 앵커) 의원과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김희정 의원이 배치됐다. ‘박근혜 캠프’ 대변인을 맡은 이상일(중앙일보) 의원도 문방위에서 활동한다.
야당이 MBC 대주주인 정수장학회 문제를 내세워 박 전 위원장과의 연관성을 부각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언론인 출신 의원들을 대거 투입해 ‘맞불’을 놓겠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특히 기획재정위의 경우에는 박 전 위원장과 정몽준 전 대표, 김태호 의원 등 여권의 대권주자들이 나란히 이름을 올렸고, 민주당 대권주자인 문재인 상임고문도 배치됨에 됨에 따라 ‘별들의 전쟁’을 예고했다.
‘박근혜 캠프’의 정책통인 안종범 의원과 캠프 총괄본부장인 최경환 의원이 기재위에 배치된 점도 눈길을 끈다. 상임위 활동을 통해 ‘박근혜표’ 경제정책 구상을 입법화하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외교통상통일위는 5선인 정의화 의원과 4선의 원유철·이병석·정병국 의원이 배정되는 등 전통적으로 중진 의원들이 선호한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됐다.
반면 정치 쟁점이 상대적으로 적은 환경노동위에선 간사를 맡은 김성태 의원(재선)을 제외하면 새누리당 측 의원 6명이 모두 초선으로 구성됐다.
아울러 예결특위에는 나성린··류성걸·박대동·안덕수·정희수 의원 등 5명을 배치했다.
또 이한구 원내대표와 남경필·심재철 의원 등은 윤리특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이 원내대표인 다수당 원내대표가 관례적으로 맡는 운영위원장을 비롯해 보건복지위, 정보위까지 4개의 상임위에서 활동하게 됐다.
이밖에 대선주자인 이재오 의원은 행정안전위, 황우여 대표는 교육과학기술위에 배정됐다.
홍 원내대변인은 윤리특위 배정과 관련, “너무 초선 위주로 하면 국회의원 일에 대한 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중진을 배치해야 한다는 용역연구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며 “아울러 쇄신국회를 위한 쇄신윤리특위도 구성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른바 ‘노른자 상임위’로 통하는 국토해양위와 예결특위에 희망자가 몰린 탓에 조율에 진땀을 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들 두 상임위에는 지역별 의원 수에 비례해 정원을 배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