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개최, 곧 국회에 제출될 박 원내대표의 체포동의안 처리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이에 따라 7월 임시국회 막바지에 박 원내대표 체포동의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 간 극한 충돌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새누리당이 ’가결‘ 입장을 정한 것은 당내 이탈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이 과반에 못미치는 149석을 점한 상황에서 일부 이탈이 이뤄질 경우 체포동의안이 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의결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표결 자체가 성립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당장 체포동의안 당사자였던 정두언 의원은 이번 표결에 불참할 것으로 전해졌다.
체포동의안이 국회의원 특권 포기를 상징한다는 점에서 새누리당은 지난 11일 정두언 의원 체포동의안 부결에 이어 이번에도 체포동의안 부결에 동조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대선 정국이 달아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체포동의안 부결은 민주당은 물론 새누리당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
앞서 황우여 대표는 의원총회 인사말을 통해 “체포동의안에 대한 표결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우리가 뜻을 모아야 한다”며 “우리는 특권을 모두 내려놓겠다고 국민에게 얘기한 만큼 국민과 같은 기준에서 판단, 결정을 모으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한구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지금 ’유권무죄‘를 실천하려 한다”며 “유권무죄는 공평사회의 기본을 흔드는 것으로, 이렇게 되면 국민의 정치 혐오, 안갯속 같은 안철수 현상은 얼마나 더 커지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가 신뢰를 못찾으면 우리도 도매금으로 넘어간다”고 전제, “지난번 체포동의안 부결로 당이 입은 후폭풍을 짐작할 것”이라며 “이번에도 각종 꼼수가 등장하겠지만 당이 화합하고 힘을 모아나가야 할 것”이라고 사실상 체포동의안 가결에 힘을 모을 것을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